의협 "현 시점 기구 신설 의미 없어…차별점 못 찾아 "
서울의대 비대위 "방향성 맞아도 큰 역할 할지 의문"
대통령실이 신설하는 '의료 인력 수급 추계 기구'에 현장 목소리를 담겠다고 강조했지만 의료계는 의정 갈등을 풀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반응이다.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30일 브리핑을 열고 의사 인력 수급 추계 기구 구성을 위한 위원 추천 절차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위원 50%는 의사 단체 추천 인사를 배정하기로 했다. 현장 의견을 반영하겠다는 취지다.
의료계 생각은 다르다. 연구도 결정권도 핵심은 정부가 쥐고 있기 때문이다. 인력 추계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주도하고 최종 결정권은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에 있다. 2025학년도 의대 정원도 대상에 들지 못했다.
대한의사협회 채동영 홍보이사 겸 부대변인은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근본적인 변화 없이 기구만 추가해서는 "의미 없다"고 잘라 말했다. 구조도 "의개특위 구성 당시 발표 내용과 차이를 찾기 어렵다"면서 "보정심을 거치는 구조다. 의료계 입장에서 특별한 변화라고 볼 여지가 없다"고 지적했다.
대통령실이 밝힌 '연내 출범'에 대해서도 "지금은 어떤 기한이나 시점을 논할 단계가 아니"라고 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강희경 위원장(소아청소년과) 역시 "이전부터 의료계가 요구해 온 (추계 기구) 필요성과 방향성을 수용한 점 자체는 환영할 만하다"면서도 "보사연이 연구를 주도하고 보정심이 의결하는 구조에서 추계 기구가 얼마나 의미 있는 역할을 할지 의문"이라고 했다.
의료계가 참여하려면 투명하고 공정한 운영과 의료 체계 전반에 대한 아젠다 설정이 담보돼야 한다고 했다.
강 위원장은 "단지 의사 숫자만 보는 게 아니라 더 바람직한 의료 체계를 수립하는 과정 안에서 의사 인력을 다루는 기구가 돼야 한다. 기구에서 제시하는 아젠다는 국민이 공감하고 동의하는 방향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회의 내용은 생중계해야 한다. 중계가 어려우면 최소한 속기록은 작성하고 열람 가능해야 한다"면서 "투명하고 공정한 운영을 약속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서울의대 비대위 만난 민주당 “25년 증원 재논의, 정부 양보하라”
- 방대한 ‘의개특위 1차 실행방안’ 어떻게 추진될까
- 의협 "의대 증원, '백지화' 후 빨라도 2027학년도부터 가능"
- '25년' 빼고 '26년' 의대 정원부터 협의? 의료계 "의미 없다"
- 政, 올해 수급추계전문위 구성…"26년 의대 정원 논의 가능"
- ‘의대 증원’에만 꽂힌 尹정부 벤치마킹…일본, 논의 과정부터 달랐다
- 政 “의료계 논의 참여해야 의료인력 수급체계 도입 가능”
- 의학계, 의대 증원 근거 검증한다…대규모 전문가단 구성
- "밀실 야합 아니라면 의대 증원 자료 내라…직접 검증"
- 일단 증원하고 추계기구 설치? 민주당·의협 “어불성설, 사과부터”
- "과학적 근거·사회적 합의 기반해 '의대 정원' 정하자"
- 조규홍 장관 “논의주제 제한 없지만 25년 의대 증원은 제외”
- 의사·간호사 수급추계위부터 구성…13명 중 7명 공급자 추천
- 증원 결정 후 추계기구 출범? 정부 “시스템화로 수용성 제고”
- 25년 의대 정원 논의 불가에 의협 “26년 감원 보장하라”
- 醫 "25년 증원시 26년 감원 불가피…파탄 막아야"
- 소비자 단체도 서울의대 감사 비판…"의료 질 저하 초래"
- 대통령실이 밝히는 2천명 증원 이유는…내일 서울의대 비대위와 토론
- 대통령실 "2천명은 최소…醫, 집단행동 멈추고 대화해야"
- "25년 증원 조정 불가" '요지부동' 대통령실, 의료계와 대화 모색?
- 의사‧소비자 "의개특위 멈추고 의료개혁 재논의해야" 한목소리
- 서울의대 교수 78% 비대위 해체 없이 '재신임' 결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