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증원 그대로면서 2026년 유예 논의 無의미"
'말 바꾸는 政 믿을 수 없다…여·야·정부터 단일안 내라"
대한의사협회가 의대 정원 관련 논의는 2025학년도와 2026학년도 증원 계획 백지화 이후 2027학년도 정원부터 가능하다고 공언했다.
의협 최안나 총무이사 겸 대변인은 8일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2025학년도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2026학년도 정원을 논의하는 것은 불가하다. 의대 정원 증원을 일시 중단하고 의료 현장을 정상화할 여·야·정의 단일한 의견이 나와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다른 논의는 의미 없다"고 못 박았다.
2027학년도 의대 정원 논의도 "의료 현장 정상화 후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의사 수를 추계하는 과정이 수반돼야 가능하다"고 분명히 했다. 최 대변인은 "의대 정원을 논하고 조정하려면 이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교육·수련 환경 변화를 차분히 준비해야만 한다. 현재로서는 아무리 빨라도 2027학년도 정원부터나 가능하다"고 했다.
2026학년도 의대 증원 유예를 전제한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에 유보적이던 의협이 다시 "협의의 최저선"을 그은 이유는 "정부의 말 바꾸기" 때문이라고 했다. 국무조정실은 지난 7일은 보도설명자료를 내고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유예 결정은 사실과 다르다"면서 "의료계가 의견을 내지 않으면 2026학년도 정원 재논의는 불가하다"고 했다.
이를 두고 최 대변인은 "정부가 단 하루 만에 입장을 바꿨다"면서 "정부를 믿을 수 없는 상황에서 진행하는 논의는 의미를 가지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지난 2000년부터 "역대 어느 정부에서도 의료계와 협의한 내용을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면서 "현 정부도 마찬가지다. 이런 고질적인 문제부터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시간이 얼마남지 않았다. 정부가 태도를 바꾸지 않는 한 해결할 수 있는 건 없다"면서 "여·야·정이 우선 통일된 의견을 의료계에 내야 한다"고 했다.
회원도 의협에 힘을 실어주길 당부했다. 최 대변인은 "의대생과 전공의 의견이 무엇보다 우선이다. 정부가 젊은 의사 의견을 수용하지 않는 한 의협은 (정부와) 어떤 협의도 들어가지 않는다"면서 "의협은 의대생을 비롯해 회원과 국민을 지키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계속해서 찾고 있다. 협회와 함께해 달라. 결과로 보여드리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 '25년' 빼고 '26년' 의대 정원부터 협의? 의료계 "의미 없다"
- 민주당 의료대란특위 “의료진 현장 복귀 위한 폭넓은 논의 必”
- 소비자단체 "여·야·의·정 협의체 참여하겠다"
- 의대 증원 잘했다 76→56%…의료대란에 국민 지지도 ‘흔들’
- 민주당 내 커지는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재검토’ 목소리
- 국민의힘 "의료계 대화하자"…협의체 구성, 26년 증원 재검토 제안
- "의정갈등 피해자는 국민"…의료소비자 단체 꾸린 사직 전공의
- 의대 증원 여론 바뀌나…국민 52% “증원 여부 다시 정해야”
- 政 “26년도 의대 정원 열린 자세로 논의…비판‧적대감 내려놓자”
- '공든 탑'이 무너지고 있다…국회의원 '이주영'의 두려움
- “6개월 동안 선배 의사들 뭐했나” “돌아가지 못할까 두렵다” 원성
- 의대 모집 시작했는데 "자존심 싸움 관두고 '끝장토론' 하자"
- "의료 위기 추석 끝나도 계속될 것" 醫, 증원 백지화 대국민 호소
- 경실련 "일부 현상을 의료대란 규정, 전공의가 바라는 상황"
- 정부, 병원 근무 의사 명단 유포 '엄벌'…"25년 정원 변경無"
- 여야 ‘25년 정원 논의’에 의료계도 반응…"백지화 논한다면 참여"
- 의학회도 "여야의정협의체, 2025년 증원 다뤄야 참여 의미"
- "정부 주도 '의료 인력 추계 기구' 의미 無…'의정 갈등' 해법 아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