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성준 정책위의장 “한동훈, 국회 대책기구 설치 화답해야”
야당이 의료대란 책임이 의대 정원 증원을 무리하게 추진한 윤석열 대통령에 있다며 “정책 실패를 인정하고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보건복지부 장·차관과 대통령실 사회수석 경질을 요구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3일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아파도 갈 병원이 없다. 의료공백에 응급실 뺑뺑이로 내몰린 환자들은 울분을 터뜨리고 있다”며 “지난달까지 응급실은 하루 이틀 문을 닫거나 일부 진료를 줄이는 수준이었지만 이번 달부터는 주말과 야간진료까지 중단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국민은 의료붕괴 위기를 겪고 있는 위급한 상황이지만 윤 대통령은 병원에 가보면 아무 문제없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어떤 장관은 6개월만 버티면 우리가 이긴다고 했다”며 “우리나라 의료 시스템이 붕괴 위기에 처해 있다. 윤 정부는 이제라도 정책 실패를 인정하고 국민 앞에 사과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의료대란)사태를 키운 장·차관과 대통령실 사회수석 모두 책임을 물어 경질해야 한다”며 복지부 조규홍 장관과 박민수 제2차관, 대통령실 장상윤 사회수석에 의료대란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를 향해 의료대란 수습 대책기구 구성에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한 대표가 내놓은 2026학년도 정원 증원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조정하자는 제안이 단칼에 거부당했다. 한 대표는 국회 대책기구를 만들자는 민주당 제안에 화답해 달라”며 “정부에 사과를 이끌어 내고 책임자를 경질하며 전공의를 복귀시킬 수 있는 방안에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찾아내자”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이주호 ‘6개월 버티면 이긴다’ 재차 해명…의대 예산 “상상 초월”
- 政, 기승전 ‘의대 증원’→기승전 ‘의료개혁’ 일방통행
- "30년간 지켜온 응급의료, 6개월만에 물거품”…민주, 현장 의견 청취
- 한동훈·이재명, ‘의료대란 대책’ 협의키로…"25년 증원 유지 공감"
- 한동훈·이재명 대표 만나지만 "의료대란은 공식의제 제외"
- “현장 문제없다” 尹대통령에 의료계·정치권 “현실 부정” 비판
- 대통령·정부와 거리 두는 여당 “의료대란 심각…민심 변화 체감”
- '전공의 탓' 한덕수 총리 “의료 붕괴? 환자 곁 떠난 전공의에서 출발”
- 국무총리 의료대란 '전공의 탓' 발언에 젊은 의사들 "책임 면피용"
- 尹대통령 탄핵 불당긴 ‘의료대란’…조국당 “탄핵 사유 충분”
- ‘운영 제한’ 응급실 늘고 환자 ‘뺑뺑이’ 도는데 정부는 “극복 가능”
- 의협 “박민수 차관 경·중증 판단, 의사 흉내까지 내나”
- 여당 내에서 복지부 장·차관 자진 사퇴 요구 나와…꼬리자르기?
- 여당 사퇴 요구에 조규홍 장관 “책임진단 자세로 의료개혁 완수”
- 민주, 복지부 장·차관 문책 요구…인요한 의원 윤리위 제소 검토
- '25년' 빼고 '26년' 의대 정원부터 협의? 의료계 "의미 없다"
- 국힘 "여야의정협의체 참여해달라" 공문 하루만에 "출발하자"
- 한동훈 대표 "의사 적 아냐…정부, 전공의 사법 대응 신중해야"
- 대통령실 "2천명은 최소…醫, 집단행동 멈추고 대화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