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할 수 있으면 경증” 발언 논란

대한의사협회는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이 "의사 흉내까지 내고 있다"고 비판했다(ⓒ청년의사).
대한의사협회는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이 "의사 흉내까지 내고 있다"고 비판했다(ⓒ청년의사).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이 내놓은 경증 판단 기준이 논란이다. 대한의사협회는 “이제는 의사 흉내까지 내느냐”고 비판했다.

논란이 된 발언은 4일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경증 환자는 응급실 이용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박 차관은 경증인지 중증인지 어떻게 판단하느냐는 질문에 “본인이 전화를 해서 알아볼 수 있는 상황이라는 것 자체가 경증이라고 이해를 하면 된다”고 답했다(관련 기사: 박민수 차관 “의식불명, 마비 외 찢어져 피 많이 나도 경증”).

의협은 박 차관이 의사 흉내를 내고 있다며 “책임질 수 있느냐”고 비판했다. 의협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이같이 말하며 “망언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고 했다.

의협은 “쉽게 내뱉은 차관의 경·중증 판단은 의사들도 쉽지 않은 것”이라며 “실제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들이 처음에는 경증으로 진단받았다가 추가 검사가 진행되면서 중증으로 밝혀지는 경우가 적지 않고 그 반대 또한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의협은 “의사들도 구분이 어려워 수많은 임상경험과 공부를 통해 판별해야 하는데 전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이 경증이면 도대체 의사들은 레드 플래그 사인(위험 신호)은 왜 공부하느냐”며 “이런 식으로 쉽게 경·중증 판단이 가능하다면 현재 국정 운영 상태가 진작부터 중증으로 판정됐다고 말하고 싶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런 인식 수준의 차관이 잘못된 보고를 하니 대통령이 현 상황을 ‘원활하다’며 태평하게 보는 게 이상하지 않다”며 “진정 우리나라 의료를 살리기 바란다면 역대급 망언을 날로 갱신하는 박 차관을 비롯한 관계자들에게 책임을 물어 경질하라”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