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항암제 치료 어려운 삼중음성 유방암 대상에서 PFS 개선 확인
정경해 교수 "두 연구 임상지침 바꿀 연구…환자에 따라 약제 결정"

[베를린=홍숙 기자] 지난 19일(현지시각)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ESMO 2025)에서 난공불락 삼중음성 유방암 관련 박수갈채를 받는 연구 결과가 잇달아 발표됐다.

주인공은 트로델비(성분명 사시투주맙 고비테칸)와 다트로웨이(성분명 다토포타맙데룩스테칸, Dato-DXd). 이 자리에선 삼중음성 유방암을 대상으로 한 트로델비 3상 임상시험인 'ASCENT-03'와 다트로웨이 3상 'TROPION-Breast02' 연구가 발표됐다.

19일(현지시각)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ESMO 2025)에서는 삼중음성 유방암을 대상으로 한 트로델비 3상 임상시험인 'ASCENT-03'가 발표됐다. 
19일(현지시각)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ESMO 2025)에서는 삼중음성 유방암을 대상으로 한 트로델비 3상 임상시험인 'ASCENT-03'가 발표됐다.

먼저 ASCENT-03 결과, 삼중음성 유방암환자의 1차 치료에서 트로델비가 기존 항암화학요법(chemotherapy) 대비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을 유의하게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ASCENT-03은 PD-(L)1 억제제 치료가 적합하지 않은 국소 진행성 불응성 또는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트로델비와 표준 화학요법을 직접 비교한 3상 연구다.

연구에는 총 558명의 환자가 등록돼 일대일 비율로 트로델비(10mg/kg, 21일 주기 1·8일 투여)군과 화학요법군(파클리탁셀·나브파클리탁셀·젬시타빈/카보플라틴 병용 중 선택)으로 무작위 배정됐다.

주요 평가변수는 PFS였으며,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al, OS), 객관적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 반응지속기간(Duration of Response, DOR) 등이 주요 2차 평가변수로 설정됐다.

그 결과, 트로델비는 화학요법 대비 PFS를 유의하게 개선했다. mPFS는 트로델비 군이 9.7개월로 대조군 6.9개월 대비 사망 또는 질병 진행 위험을 38% 감소시켰다(위험비: 0.62).

*출처: ESMO 2025
*출처: ESMO 2025

전체생존율(OS)은 아직 성숙하지 않았으나, 중간 분석에서 두 군 간 중앙값 OS는 트로델비 군이 21.5개월로, 대조군 20.2개월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반면 2차 무진행생존기간(PFS2)은 트로델비군이 화학요법군보다 4.2개월 더 길게 유지됐다.

안전성 측면에서도 트로델비는 기존 데이터와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가장 흔한 이상반응은 호중구감소증(67%), 구역(61%), 탈모(56%), 설사(47%), 피로(47%) 등이었으며, 3등급 이상 이상반응 발생률은 화학요법군보다 낮았다. 예방적 G-CSF 사용은 권장됐으며, 치료 중단율 역시 트로델비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뒤이어 다트로웨이 3상인 'TROPION-Breast02' 연구도 공개됐다. 해당 연구는 국소 진행성 불응성 또는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환자 중, 이전에 전이성 치료를 받은 적이 없고 면역항암제 치료가 적합하지 않은 환자 64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19일(현지시각)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ESMO 2025)에서는 삼중음성 유방암을 대상으로 한 다트로웨이 3상 'TROPION-Breast02' 연구가 발표됐다.   
19일(현지시각)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ESMO 2025)에서는 삼중음성 유방암을 대상으로 한 다트로웨이 3상 'TROPION-Breast02' 연구가 발표됐다.

환자들은 일대일 비율로 다토-DXd(6mg/kg, 3주 간격 정맥주사)군과 연구자 화학요법(Investigator’s Choice Chemotherapy, ICC; 파클리탁셀, 나브파클리탁셀, 에리불린, 카보플라틴, 카페시타빈 중 선택)군으로 무작위 배정됐다.

주요 평가변수는 PFS와 OS로 설정됐으며, 중간 추적기간은 27.5개월이었다. 분석 결과, Dato-DXd는 화학요법 대비 PFS와 OS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개선을 보였다.

mPFS는 각각 Dato-DXd군이 10.8개월(95% CI 8.8–13.0)로 대조군 5.6개월(95% CI 5.0–7.0) 대비 길었고,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을 43% 감소시켰다(위험비 0.57; 95% CI 0.47–0.69; p<0.0001).

전체생존율(OS)에서도 유의한 개선이 관찰됐다. 중앙값 OS는 Dato-DXd군 23.7개월(95% CI 19.8–25.6), 화학요법군 18.7개월(95% CI 16.0–21.8)로, 사망 위험을 21% 낮췄다(위험비 0.79).

*출처: ESMO 2025
*출처: ESMO 2025

반응지속기간(Duration of Response, DoR)은 Dato-DXd군에서 12.3개월로, 화학요법군의 7.1개월 대비 약 5개월 이상 길었다.

안전성 측면에서도 다토-DXd는 예측 가능한 독성 프로파일을 보였다. 치료 관련 이상반응은 대부분 관리 가능했으며, 3등급 이상 이상반응 발생률은 Dato-DXd군 33%로, 화학요법군 29%dhk 유사했다.

주요 특이 이상반응으로는 구내염(25%), 안표면 질환(15%) 등이 보고됐으나 대부분 1~2등급으로, 90% 이상이 회복됐다. 간질성폐질환(ILD) 또는 폐렴 관련 사건은 1% 미만에서 보고됐다.

현장에서 만난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정경해 교수는 "두 연구는 삼중음성 유방암의 임상지침을 바꿀 수 있는(‘practice-changing) 연구 결과"라며 "트로델비와 다트로웨이 두 약제 모두 ADC 계열이지만 타겟과 페이로드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환자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정 교수는 "(현재 발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볼 때)폐 기능이 저하된 환자라면 페이로드에 따른 폐독성 위험을 고려해 트로델비를, 종양 부하가 높아 빠른 반응이 필요한 환자라면 다트로웨이를 우선 고려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