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협 "PA 역할 제각각, 수련이 진료에 밀려"
"정부 수련 혁신 사업, 전공의 의견 반영해야"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전공의 수련 재개 후 현장 혼란에 우려를 드러냈다(ⓒ청년의사).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전공의 수련 재개 후 현장 혼란에 우려를 드러냈다(ⓒ청년의사).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수련 재개 후 현장 혼란에 우려를 드러냈다.

대전협 한성존 비상대책위원장은 14일 대한의사협회 용산 회관에서 열린 임시대의원총회 모두발언에서 "전공의 다수가 수련 현장으로 복귀한 지 약 2주가 지났으나 병원 곳곳은 여전히 혼란스럽다"며 "진료 지원(PA)의 역할과 범위가 병원마다 제각각이다. 바쁜 진료에 밀려 수련의 본질보다는 업무 효율성이 우선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위원장은 "수련병원 본연의 사명은 미래 의사 인력을 길러내는 일이다. 이 역할이 충실히 수행돼야만 대한민국 의료의 내일이 유지되고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열악한 전공의 근무 환경도 빠르게 개선돼야 한다고 했다. 최근 불거진 신생아 뇌성마비 불구속 기소 사건에서 당시 전공의였던 의사가 담당 교수와 함께 민형사 소송 대상이 된 점을 들어 "전공의 시절 불가피하게 맡은 고위험 의료 행위로 인해 수년 뒤 형사 재판에 휘말리는 현실로 전공의들이 절망과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했다.

한 위원장은 "전공의들은 환자 안전을 위협하지 않는 근로 환경, 수련 후 역량 있는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을 바란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수련 혁신 사업에도 수련 당사자인 전공의 목소리가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대전협은 임총에서 비대위 결산 심의와 중앙선거관리위원장 선출 건을 의결한다. 비대위는 의료계 현안 대응과 의협 대의원 파견에 대해 대의원에게 보고하고 앞으로 대응 방안 등을 토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