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협 "PA 역할 제각각, 수련이 진료에 밀려"
"정부 수련 혁신 사업, 전공의 의견 반영해야"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수련 재개 후 현장 혼란에 우려를 드러냈다.
대전협 한성존 비상대책위원장은 14일 대한의사협회 용산 회관에서 열린 임시대의원총회 모두발언에서 "전공의 다수가 수련 현장으로 복귀한 지 약 2주가 지났으나 병원 곳곳은 여전히 혼란스럽다"며 "진료 지원(PA)의 역할과 범위가 병원마다 제각각이다. 바쁜 진료에 밀려 수련의 본질보다는 업무 효율성이 우선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위원장은 "수련병원 본연의 사명은 미래 의사 인력을 길러내는 일이다. 이 역할이 충실히 수행돼야만 대한민국 의료의 내일이 유지되고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열악한 전공의 근무 환경도 빠르게 개선돼야 한다고 했다. 최근 불거진 신생아 뇌성마비 불구속 기소 사건에서 당시 전공의였던 의사가 담당 교수와 함께 민형사 소송 대상이 된 점을 들어 "전공의 시절 불가피하게 맡은 고위험 의료 행위로 인해 수년 뒤 형사 재판에 휘말리는 현실로 전공의들이 절망과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했다.
한 위원장은 "전공의들은 환자 안전을 위협하지 않는 근로 환경, 수련 후 역량 있는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을 바란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수련 혁신 사업에도 수련 당사자인 전공의 목소리가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대전협은 임총에서 비대위 결산 심의와 중앙선거관리위원장 선출 건을 의결한다. 비대위는 의료계 현안 대응과 의협 대의원 파견에 대해 대의원에게 보고하고 앞으로 대응 방안 등을 토의할 예정이다.
고정민 기자
jmk02@docdocdoc.co.kr
관련기사
- [기획] 'PA와 공존' 앞둔 전공의들…홀로서기 가능할까
- 전공의 돌아오면 끝?…“60시간에도 수련 질 유지할 방법 찾자”
- "전공의는 기계 아니다, 전공의법 개정하라"…전공의노조 출범
- 60개 병원 참여 ‘수련환경 혁신지원 사업’ 12일 시작
- 전공의 복귀 현장 ‘폭풍전야’?…간호사들, 피해 사례 수집 나서
- "의정 갈등 끝이 '필수의료 끝' 될 수도"…여야 해결 한목소리
- "의정 갈등 끝이니 전공의 모두 복귀하라?…수련 재개 요건 갖춰지길"
- 전공의 돌아오는 수련병원, 'PA 제도화' 어떻게 해야 하나
- "교수라면서 '전공의 없어도 PA 있으니 상관없다' 하느냐" 정면 비판
- "의사가 하던 일 맡기는데 당연히 의사가 PA 교육해야"
- "'전공의 동지' 함께하자"…국회·노동계 성원 속 "전문가 책무도"
- “사법 리스크로 산과 붕괴”…신생아 뇌성마비 형사기소 ‘나비효과’ 우려
- 2년 만에 새 회장 뽑는 전공의들…대전협, 선관위원장 선출
- 산부인과 전문의 2명 과실치상 기소…7년 전 무슨 일 있었나
- 돌아오니 정작 '전공의 현안'은 주춤?…"수련 개선 논의 계속돼야"
- 대전협, 차기 회장 선출 절차 착수…25일부터 후보 등록
- [칼럼] 최단기간 전문의 될 수 있는 K-의료의 기적
- 근무시간 상한 빠진 전공의법, 대전협 "미흡…병원 제재도 없어"
- 대전협 회장 선거 2파전…한성존 비대위원장도 출마
- 대법원 ‘전공의 추가 수당 지급’ 판결 후폭풍…“정원 감축 불가피”
- 이젠 대전협 회장으로…한성존 "꼬인 매듭 풀겠다" 현안 해결 약속
- 닻 올린 대전협 한성존號…“미래 세대 목소리 대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