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대의원회, 역대 의장 초청 간담회 개최
"집행부·대의원회 협력하고 회원 단결해야"
대체조제 활성화와 비의료인 문신 시술 허용으로 의료계 우려가 고조되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 대의원회 역대 의장이 모여 회원 단결을 강조했다.
의협 대의원회는 지난 23일 대전 라마다호텔에서 역대 의장을 초청해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전공의·의대생 복귀와 대체조제 사후통보, 문신사법 등 의료계 주요 현안에 대한 역대 의장의 의견을 듣고자 마련됐다. 박희두·변영우·이철호·박성민 전 의장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현안 해결을 위해서는 정치적 국면 분석과 집행부·대의원회 협력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 전 의장은 '대의원회의 역할과 발전 방향'을 주제로 진행한 특강에서 운영위원회와 분과위원회를 활성화하고 주요 현안별 대응 TFT를 꾸려 회원 구심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전 의장은 "대의원회는 의협 최고의결기구이자 최고책임기구다. 회원 의견과 제안을 집대성하고 대의원회 자료 내실화에 신경 써야 한다"며 "청장년 리더 양성과 수익 사업 창출도 중요하다. 인공지능(AI) 대응 TFT에서 위기 감지 능력을 배양해 대정부·국회·언론·시민단체 대응력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10만 강군 양병설'을 들어 "회원 투쟁 의식을 고취해야 한다"고도 했다.
박성민 전 의장은 "전공의와 의대생이 복귀하는 시점에서 정권 교체에 따른 강경 노선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며 "집행부와 대의원회가 협력해야 한다. 회원 기대에 100% 부응하지 못하더라도, '의협이 지켜야 할 마지노선'은 반드시 지켜 달라"고 당부했다
고정민 기자
jmk02@docdocdoc.co.kr
관련기사
- 의료계 반대했지만…‘문신사법 ·대체조제활성화법’ 복지위 통과
- 비의료인 '시술은 OK, 제거는 NO'…문신사법, 어떤 내용 담겼나
- “尹정부 책임 묻겠다”는 의협, 새 정부에는 신뢰 회복 기대
- 의정 갈등 해소는 '조속히', 공공의대 신설은 '신중히'
- 醫 대의원회도 "의대생 유급·제적 압박은 정치적 탄압" 반발
- 김택우號 힘 실은 대의원…"하나된 의협으로 의료 정상화"
- "대책 없이 '돌아와라' 해서야…의대생·전공의에 힘 실어줘야"
- 김교웅 의장 "의협 일 안한다? 길 혼자 만드나" 단합 강조
- "대체조제 활성화, 성분명처방 이어질 수도"…醫 '신고센터' 설치
- '문신사법' 통과에 醫 "'문신' 정의부터 명확히 하라"
- 醫 '불법대체조제 신고센터' 개소…"위험성 국민에 알릴 것"
- 8부 능선 넘은 ‘문신사법’…9월 본회의 통과 가시권
- 법사위 넘은 ‘문신사법·대체조제활성화법’…본회의 ‘일사천리’ 통과?
- “문신 시술, 의사는 되고 한의사는 안 된다? 직역 차별”
- “한의사도 문신 시술을”…문신사법 총력 투쟁 예고한 한의사들
- '문신사법' 본회의 상정…의협 "교육·관리에 역할하겠다"
- 대체조제에 성분명처방까지 '첩첩산중'…커지는 개원가 우려
- 醫 '불법 대체조제' 약국 2곳 경찰 고발…"처방 무단 변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