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공협 설문조사 결과 공개…내과 '최다'·소청과·흉부외과도
"복무 마치고 수련 전념할 수 있도록 정부 대승적 결단해야"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는 올해 입대한 사직 전공의의 수련 연속성 보장 방안도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청년의사).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는 올해 입대한 사직 전공의의 수련 연속성 보장 방안도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청년의사).

올해 입대해 복무 중인 공중보건의사 3명 중 1명은 이른바 '필수의료' 분야 전문의 취득을 앞둔 3·4년 차 전공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들이 3년 복무를 마친 뒤 전공의 수련도 원활하게 마무리 지을 수 있도록 정부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는 12일 1년 차 공보의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입대한 사직 전공의의 수련 연속성 보장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1년 차 공보의 249명 중 224명이 참여해 응답률은 90%였다.

이번 설문조사에 응한 1년 차 공보의 224명 가운데 36.6%인 82명이 정부 지정 필수과목 출신 고연차 전공의였다.

전공 과별로는 내과가 43명(19.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응급의학과와 신경외과가 각각 11명(4.9%), 외과가 6명(2.7%)이었다. 소아청소년과 고연차 전공의 출신은 4명(1.8%), 신경과는 4명(1.8%)이었다. 심장혈관흉부외과 전공의 수련을 중단하고 입대한 공보의는 3명(1.3%)이었다.

대공협 이성환 회장은 "중증·응급 환자를 살리겠다는 사명감으로 필수의료 분야 전공을 택한 젊은 의사들이 이제 지역 내 유일한 의사로서 사회적 책무를 다하고 있는 셈"이라면서 "이제 이들을 보호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군 복무로 3년의 공백을 겪게 될 이들까지 수련 연속성을 보장받을 때 비로소 의정 갈등도 진정으로 해소됐다고 볼 수 있다"면서 "필수의료 분야를 포함해 사직 전공의가 의료 현장에 돌아와 환자를 돌보고 술기 연마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정부가 대승적으로 결단해 달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