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련병원협, 이틀 연속 간담회 열고 의협·대전협 만나
"국회·정부와 소통하며 전공의 수련 재개 환경 마련"
의대생에 이어 전공의 수련 재개 기대가 높아지면서 수련 현장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대한수련병원협의회는 지난 14일과 15일 이틀에 걸쳐 대한의사협회,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와 간담회를 열고 수련 정상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의협의 제안으로 성사됐다.
먼저 수련병원협의회와 의협이 함께 한 지난 14일 간담회는 전공의 복귀와 관련해 수련병원 전공의 정원과 전문의 시험 문제를 주로 다뤘다. 대전협 비대위가 참여한 지난 15일 간담회에서는 수련 환경 질적 향상과 사법 리스크 완화를 중심으로, 전공의들의 요구에 대한 현실적인 해법을 모색했다.
수련병원협의회는 "전공의 복귀 과정은 복잡한 구조적 문제와 맞닿아 있다. 전공의 수련 연속성을 보장하려면 수련병원 차원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이번 간담회는 전공의 단체와 수련병원이 (의정 사태 이후) 처음으로 공식적인 자리에서 마주 앉아 전공의 수련 문제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대전협 한성존 비대위원장은 "전공의 복귀에 앞서 수련 환경 질적 향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수련 환경 개선, 사법 리스크 완화에 나서야 한다. 전공의가 원활하게 수련을 재개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길 바란다"고 했다.
이에 대해 수련병원협의회 김원섭 회장도 "국회와 정부와 적극적으로 대화하며, 전공의 수련 재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속적이고 원활한 소통으로 수련 연속성과 제도적 안정성을 함께 지킬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 회장이 병원장으로 있는 충북대병원도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충북대병원은 지난 16일 보도자료를 통해 "김 원장이 수련병원협의회장으로서 전공의 수련 정상화 논의의 한 축을 맡으면서, 충북대병원도 관련 논의에 깊이 참여하고 있다"며 " 수련병원으로서 공적 역할과 교육기관으로서 기능을 자각하고, 전공의 수련 질적 향상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과 안정적인 수련 환경 조성을 위해 병원 차원에서 다양한 협의와 지원을 계속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전공의 복귀 기대감↑…의대 교수들 “양질 수련되도록 최선”
- 전공의·의대생 복귀 가시화…국회·의료계, 걸림돌 제거 착수
- 전공의 돌아오면 끝?…“60시간에도 수련 질 유지할 방법 찾자”
- 박주민 "윤석열식 '학사 유연화' 없다…전공의 사직 '징계감' 아냐"
- 전공의 복귀 움직임에 수련병원들 '기대 반, 우려 반'
- 복귀 채비 속도 높이는 전공의들…수련병원장과 첫 공식 대화
- 의정 갈등 '해빙'에도 못 웃는 '필수과'…"돌아오는 전공의 없을지도"
- "부실 교육 우려 고조… 서남의대 폐교 사태 재현 없어야"
- ‘60시간’이 드러낸 필수과 절박함…전공의-PA 투트랙 가능할까
- 버텨 낸 1년 4개월…필수의료는 ‘메이저 기피과’가 됐다
- "의료 정상화 논의" 대전협 새 비대위 출범에 의정 대화 기대↑
- 병무청, 전공의 복귀 대비 입영 지원 시기 조정
- 정은경 후보자 “전공의 복귀 촉박…수련협의체 구성해 대응”
- 대전협 '새 요구안' 어떤 내용 담나…"중증·핵심의료 재건해야"
- 전공의 새 요구안에 환자단체 반발…“특혜 안 된다” 국민청원도
- 의대들, 분반·계절학기 등 수업 준비 분주…"내부 갈등 걱정"
- 돌아가도 '다른 과, 다른 병원으로'?…복잡해진 전공의 정원 셈법
- ‘필수의료 붕괴’ 부른 사법 리스크…"수사·기소 필터링 필요"
- 2년 만에 새 회장 뽑는 전공의들…대전협, 선관위원장 선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