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醫, "늘어난 의대생 수용시설 ‘오리무중’…무더기 수업”
의대 학사 일정 유연화·의학교육 정상화 구체적 방안 논의 필요

충청북도의사회가 늘어난 의대생 수용을 위한 의대 시설 확충이 되지 않고 있다며 정부에 의학교육 정상화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충청북도의사회가 늘어난 의대생 수용을 위한 의대 시설 확충이 되지 않고 있다며 정부에 의학교육 정상화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새 정부가 들어선 후 의정 대화가 늦어지면서 국면 전환을 기대했던 의료계가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4·25·26학번이 동시 수업 받는 ‘트리플링’이 현실화되면서 의학교육 정상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충청북도의사회는 20일 호소문을 내고 “(새 정부가) 둘러봐야 할 민생 사안이 많겠지만 그 중 가장 시급한 일은 의료 문제다. 2년 넘게 지속되는 의정갈등과 의학 교육 파행은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충북도의사회는 “정부는 지속적으로 복귀를 독려하고 있으나 전국 의대 중 어느 곳에서도 증원된 의대생 수용을 위한 시설 확충은 되지 않았다”며 “기존 시설과 인력에서 3개 학년을 무더기로 수업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고 했다.

충북도의사회는 “물리적으로 정상적인 의대 교육은 현재 불가능하다. 학생들의 원활한 복귀를 위해 의대 학사 일정 유연화가 필요하며 새 정부는 교육 정상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며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여건도 재검토 해야 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지속적인 의학교육 정상화와 사직 전공의 복귀 방안 요구는 “단순한 밥그릇 싸움이 아니라 필수의료를 위한 마지막 외침”이라며 “의정 갈등을 계기로 잘못된 악습은 과감히 철폐하고 미래지향적이며 건실한 의료체계를 구축하길 거듭 당부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