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의대 교육 불가능 입장 변화 없어…政, 의대에 맡겼을 뿐"
KAMC 직격한 박단…"제자 시궁창 빠트리려 해, 스승의 위선"

정부가 학생 복귀를 전제로 제시한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에 대한의사협회가 바뀐 게 없다고 평가했다(ⓒ청년의사).
정부가 학생 복귀를 전제로 제시한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에 대한의사협회가 바뀐 게 없다고 평가했다(ⓒ청년의사).

정부가 학생 복귀를 전제로 제시한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에 대한의사협회가 실망감을 드러냈다.

의협은 7일 교육부 '학생 복귀 및 의대 교육 정상화' 브리핑 후 입장문을 내고 이대로면 의대 교육이 불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40개 의대 학장 단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등이 제시한 운영 모델을 토대로 대학별 교육 여건과 의견을 수렴해 교육 방안을 수립하겠다고 했다. 필요한 행정·재정 지원도 추진하기로 했다.

그러나 결국 정부가 아닌 "의대에 교육 내용을 맡겼다"면서 "정부 무능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게 의협 평가다. 이번에 발표한 내용만으로는 "앞으로 의대 교육이 불가능하다는 의협 기존 입장이 바뀌기 어렵다"고 했다.

의대 증원 정책 실패를 인정하지 않는 점도 문제라고 했다. 책임자 문책과 정부 사과도 요구했다. 정부가 말하는 '정상화'는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문제에 그쳐선 안 된다"면서 "현재 의료개혁 논의를 중단하고 공론의 장으로 옮겨 새로운 논의를 시작하라"고 촉구했다.

의협 박단 부회장은 이날 SNS에 "새로운 내용이 없다"며 "입장을 낼 가치도 없는 수준"이라고 했다. 박 부회장은 전공의 대표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기도 하다.

의대생 복귀를 전제로 걸고 그렇지 않으면 2,000명 증원을 그대로 진행하겠다는 교육부 발표에 "학생을 상대로 처음부터 끝까지 사기와 협박"이라면서 "괘씸죄냐"고 했다. 이번 정부 방침에 함께 한 KAMC도 비판했다. "후배에게 더 나은 교육을 물려줘야 하는데 학장이라는 자는 오히려 정부 권력에 편승해 제자를 시궁창에 빠트리려 한다"며 "스승의 위선"이라 불렀다.

그러면서 "(대학은)7,500명 교육 대안도 없이 내년도 신입생 선발부터 걱정한다. 무책임하기 짝이 없다"면서 "(의대 정원도)결국 정부와 총장 마음대로 (하겠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