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회·의학한림원 수장 출신 17명 호소문 발표
“위기가 현실로…정부-의료계 합심해 논의해야”

대한의학회·대한민국의학한림원·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한국의학교육학회 수장을 지낸 의학계 원로 17명이 호소문을 내고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3,058명으로 원상 복귀해 사태 해결의 물꼬를 터야 한다고 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대한의학회·대한민국의학한림원·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한국의학교육학회 수장을 지낸 의학계 원로 17명이 호소문을 내고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3,058명으로 원상 복귀해 사태 해결의 물꼬를 터야 한다고 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이대로 면 올해도 의대생과 전공의들은 돌아오지 않는다는 우려가 크다. 의학계는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돌려 의대생과 전공의들에게 돌아올 기회를 줘야 한다고 호소하고 있다.

한국의학교육협의회에 이어 대한의학회·대한민국의학한림원·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한국의학교육학회 수장을 지낸 의학계 원로 17명은 4일 호소문을 내고 이같이 말했다. 호소문에 이름을 올린 원로들은 의학회, 의학한림원, KAMC, 의학교육학회에서 회장이나 이사장을 지낸 김건상·김동익·김병길·김성덕·김한중·박정한·서덕준·이영환·이윤성·임정기·장성구· 전우택·정남식·정명현·정성택·정지태·한희철 교수다.

이들은 “2025년에도 학생과 전공의들이 복귀하지 않는다면 2년째 의사 배출이 이뤄지지 않으며 증원과 휴학으로 누적된 학생들로 인해 정상적인 의대 교육이 불가능해질 우려가 크다”며 “이미 이 위기는 현실이 되어가고 있지만 정부는 여전히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정책 결정을 미루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의료 시스템이 붕괴되기 전에 “정부와 의대, 의료계가 긴밀히 협력하고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2024학년도 정원인 3,058명으로 설정하라고 요구했다. 또 “진정성 있게 의료계와 적정 의대 정원에 대한 논의를 진행해 달라”고 했다.

2027학년도 이후 의대 정원은 “반드시 의료계와 협의해 구성한 합리적인 기구에서 결정돼야 한다”며 “의학교육과 의사 수련의 질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정부는 의학교육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책을 즉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미 시스템 붕괴의 길로 들어선 대한민국 의료를 제자리로 되돌리기 위한 마지막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며 “더 이상 지체할 여유가 없다. 정부와 의료계가 합심해서 최선의 노력을 다해 달라”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