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협의회, 의대 정원 원상 복귀 촉구
“26년 의대 1학년 1만2000여명에 이를 것”

한국의학교육협의회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원상 복귀해야 한다고 요구했다(ⓒ청년의사).
한국의학교육협의회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원상 복귀해야 한다고 요구했다(ⓒ청년의사).

의학계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돌려 사태를 해결해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의회(KAMC, 의대협회)가 간담회에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에게 요구한 사안이기도 하다.

한국의학교육협의회(의교협)는 4일 성명서를 내고 의대 정원 원상 복귀를 요구했다. 의교협 성명에는 KAMC와 대한의학회, 한국의학교육평가원, 한국의학교육학회, 대한기초의학협의회, 의학교육연수원, 국립대학병원협의회, 사립대학의료원협의회가 동참했다. 의교협에는 이들 8개 의학교육 단체 외에도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대한개원의협의회,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가 회원으로 있다.

의교협은 “2025학년도 1학기에도 학생이 복귀하지 않고 2학기 이후로 늦어지면 2년째 의사 배출이 불가능하게 된다”며 “2026학년도 1학년 학생 수는 1만2,000여명에 이를 것”이라고 했다. 이에 따라 “정상적인 의대 교육이 불가능해지고 의사 양성이 지연되면 졸업 후 의학교육인 전공의(인턴·레지던트) 수련에도 2년 공백이 생기고 전문의 배출과 군의관, 공중보건의사 수급 등에 연쇄적으로 큰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의교협은 KAMC가 지난달 11일 전국 의대 학장 회의에서 의결한 ‘2025학년 의대 학사 정상화 방안’을 사태 해결을 위한 최소한의 조건으로 꼽았다.

세 가지 조건 중 첫 번째는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2024학년도 정원인 3,058명으로 재설정하는 것이다. 이어 2027학년도 이후 의대 정원은 의료계와 협의해 구성한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에서 결정해야 한다고 했다. 또 “의학교육의 질 유지 및 향상을 위해 의학교육 관련 제도, 행정, 재정에 대한 교육부의 전폭적인 지원책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교협은 “회원단체 의견을 수렴해 KAMC 의결 사항을 전폭적으로 지지한다”며 “이는 의료계의 절박한 요청이자 마지막 기회”라고 했다 그러면서 “학생 복귀와 의대 학사 정상화가 지체 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 책임자의 성의 있는 결단과 의대 총장협의회의 즉각적인 수용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