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에게 의료 대란과 의학 교육 문제 알릴 것"
학장·교수·전공의·의대생 중심…장관 출석도 추진
2025학년도 증원 문제 구체적 방법 합의는 '아직'

국회와 의료계가 의료 대란 실상을 국민에 알리는 공개 토론회를 추진한다(ⓒ청년의사).
국회와 의료계가 의료 대란 실상을 국민에 알리는 공개 토론회를 추진한다(ⓒ청년의사).

국회와 의료계가 의대 증원에서 시작한 의료 대란 실상을 알리고자 공개 토론회를 연다. 주무 부처인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의 이주호·조규홍 장관도 부를 계획이다.

국회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19일 대한의사협회·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와 가진 간담회 종료 후 "이대로면 제대로 된 의대 교육이 불가능해지는 현실을 널리 알리기로 했다"면서 "정부와 국회, 의료계가 모두 참여하는 공개 토론회를 추진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토론회 참석 대상은 의대 학장과 교수, 전공의, 학생 등 의료계와 교육부·복지부 그리고 국회다. 두 장관의 토론회 출석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출석이 가능하다면 (정부를 포함해) 최대한 빠른 시간 내 토론회를 열고 이 과정에서 국민에게 의대 교육 문제를 소상히 알리겠다"고 설명했다.

김영호 교육위원장(민주당)은 전날(18일) 교육위 전체회의에서 이 장관이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은 "미세조정도 불가능하다"고 답변한 것을 두고 "법적 소송을 대단히 우려하는 것 같다"면서 "이번 토론회에 두 장관이 참석하면 현장의 문제를 신랄하게 밝히고 정부의 답변을 받으려 한다. 이를 통해 2025학년도 정원 문제의 해법을 찾으리라 기대한다"고 했다.

다만 구체적인 해법에 이른 건 아니라고 했다. 박 위원장은 "이 문제를 빨리 해결해야 한다는 공감대는 형성했으나 어떤 식으로 해결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아직 완벽하게 합의가 이뤄지지는 않았다"고 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은 어려운 상황이지만 국회와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했다(ⓒ청년의사).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은 어려운 상황이지만 국회와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했다(ⓒ청년의사).

대전협 박단 비대위원장은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현실적으로 보면 상황이 파국에 이르지 않을까 한다"고 털어놨다.

박 위원장은 "상황이 쉽지는 않다. (이대로면) 의대생도 전공의도 돌아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며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국회가 방법을 찾아보자고 나선 것만은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국회와) 머리를 맞대보겠다"고 했다.

2026학년도 정원을 감원하더라도 "올해 입학한 의대생과 내년 신입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지금 (전공의들이 보는 의료 현장 문제는) 단순히 의대 정원만이 아니다. (2026학년도 감원만으로) 전공의 복귀를 거론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여당인 국민의힘과는 특별히 접촉하지 않았다고 했다. 지난 8월 한동훈 전 대표와 만나고 "한지아 의원의 부재중 전화 이후 따로 여당 측 연락은 없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