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에게 의료 대란과 의학 교육 문제 알릴 것"
학장·교수·전공의·의대생 중심…장관 출석도 추진
2025학년도 증원 문제 구체적 방법 합의는 '아직'
국회와 의료계가 의대 증원에서 시작한 의료 대란 실상을 알리고자 공개 토론회를 연다. 주무 부처인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의 이주호·조규홍 장관도 부를 계획이다.
국회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19일 대한의사협회·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와 가진 간담회 종료 후 "이대로면 제대로 된 의대 교육이 불가능해지는 현실을 널리 알리기로 했다"면서 "정부와 국회, 의료계가 모두 참여하는 공개 토론회를 추진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토론회 참석 대상은 의대 학장과 교수, 전공의, 학생 등 의료계와 교육부·복지부 그리고 국회다. 두 장관의 토론회 출석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출석이 가능하다면 (정부를 포함해) 최대한 빠른 시간 내 토론회를 열고 이 과정에서 국민에게 의대 교육 문제를 소상히 알리겠다"고 설명했다.
김영호 교육위원장(민주당)은 전날(18일) 교육위 전체회의에서 이 장관이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은 "미세조정도 불가능하다"고 답변한 것을 두고 "법적 소송을 대단히 우려하는 것 같다"면서 "이번 토론회에 두 장관이 참석하면 현장의 문제를 신랄하게 밝히고 정부의 답변을 받으려 한다. 이를 통해 2025학년도 정원 문제의 해법을 찾으리라 기대한다"고 했다.
다만 구체적인 해법에 이른 건 아니라고 했다. 박 위원장은 "이 문제를 빨리 해결해야 한다는 공감대는 형성했으나 어떤 식으로 해결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아직 완벽하게 합의가 이뤄지지는 않았다"고 했다.
대전협 박단 비대위원장은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현실적으로 보면 상황이 파국에 이르지 않을까 한다"고 털어놨다.
박 위원장은 "상황이 쉽지는 않다. (이대로면) 의대생도 전공의도 돌아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며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국회가 방법을 찾아보자고 나선 것만은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국회와) 머리를 맞대보겠다"고 했다.
2026학년도 정원을 감원하더라도 "올해 입학한 의대생과 내년 신입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지금 (전공의들이 보는 의료 현장 문제는) 단순히 의대 정원만이 아니다. (2026학년도 감원만으로) 전공의 복귀를 거론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여당인 국민의힘과는 특별히 접촉하지 않았다고 했다. 지난 8월 한동훈 전 대표와 만나고 "한지아 의원의 부재중 전화 이후 따로 여당 측 연락은 없었다"고 했다.
관련기사
- 국회 마주한 박단 "25년 의대 증원 중단 없이 복귀도 없다"
- 조 장관 의료개혁 추진 강조…“醫, 의개특위 참여해 달라”
- ‘서남의대 재현’ 우려하는 의대 교수들 “모집 중단해야”
- 2025학년도 의대 정원에 단호한 政 “미세조정도 NO”
- ‘의대 정원' 마지노선 2주…국회는 의·정 설득할 수 있을까
- 政, 의료개혁 지속추진 의지 보였지만…표류하는 개혁과제들
- 의료는 이미 2월부터 ‘서울의 봄’…“尹 의료개악 폭탄 제거해야”
-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 국회 통과…‘의료개혁’은 어디로?
- 복지부 “계엄사령부와 통화 안했다”…‘전공의 처단’ 논의 부인
- 의료개혁 안 굽히는 박민수 차관에 "처단 대상…입 다물라"
- ‘전공의 처단’ 문구 후속조치 질문에 조규홍 장관 “생각 못해”
- 의대 교수들 “교육부·복지부 장관, 자리에서 물러나라”
- 교육부 장·차관, 교육위 전체회의 불참…野 “국회‧국민 대놓고 무시”
- 의료대란 속 의료계 홍보·소통 ‘낙제점’…“냉철한 전략이 없다”
- 정부가 25년 정원 수용 대신 26년 정원 '1500명'을 제안한다면?
- "교육 불가능…25년 증원 못 멈추면 26년 의대 모집 멈춰라"
- “의대 정원 4천명 2031년까지 증원 후 미세 조정 必”
- [언저리뉴스④] 의정갈등 '키플레이어' 된 박단 위원장
- 민주당 ‘의학교육 정상화’ 토론회 2건 동시 추진, 왜?
- ‘의정 갈등 해소’ 국회 토론회 무산…“조규홍·이주호 사퇴해야”
- 우원식 의장 만나는 대전협…국회 손 잡고 의정 대치 돌파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