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보건복지의료연대 "법안 즉시 철회…저지 위해 공동 투쟁"
간호법 재추진에 다른 보건의료연대도 다시 뭉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와 대한간호조무사협회 등 14개 단체가 모인 14보건복지의료연대가 국회 발의 법안 철회와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 중단을 요구했다.
14보건복지의료연대는 8일 성명을 내고 간호법안은 "특정 직역 권리와 이익만 대변"하고 "보건의료 직역의 유기적인 협조로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 시스템 균열을 초래하는 악법"이라며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또한 간호법 제정 저지를 위해 "상호 연대와 협력을 공고히 하고" "공동 투쟁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현재 국회에는 국민의힘 유의동·최연숙 의원, 더불어민주당 고영인 의원이 발의한 법안이 올라와 있다.
14보건복지의료연대는 "간호법안이 제장되면 간호사는 지역사회에 유사의료기관을 개설해 의사 지도·감독 없이 독립적으로 간호 진료 업무를 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런 과정에서 환자가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쳐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지면 국민 생명과 건강에 중대한 위협이 된다"고 경고했다.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 관련 정부 지침도 "골수 천자나 뇌척수액 및 조직 검체 체취 등 인체 침습적 내용이 포함됐다"며 "국민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벌어질 게 분명하다"고 했다. 여기에 "의료법도 정면으로 위반한다"며 시범사업을 "전격 철회하라"고 했다.
14보건복지의료연대는 "고질적인 저수가에 시달리는 의료 체계에서 간호직역은 물론 모든 보건의료인력 처우개선이 필요하다"며 "국회와 정부는 간호법안에 대한 소모적 분쟁을 중단하고 모든 보건의료인력 처우를 개선하라"고 했다.
관련기사
- “간호법, 의료 붕괴 파국 완성하는 마지막 결정타”
- 복지부, 21대 국회 내 ‘간호법’ 재처리 추진
- 간호계, 전공의 공백 메우는 전담간호사 관심 높아
- 21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 앞두고 ‘간호법’ 재추진 급물살
- 간협, '간호사 업무 시범사업' 참여 전담간호사 교육 시작
- 간호사 업무 시범사업 후 법적 보호는? "PA→전문간호사 유입 필요"
- 22대 총선 야권 대승, 의대 정원 확대 정책 변화 올까
- 與, ‘PA 합법화’ 담은 ‘간호사법’ 발의…간협 “환영”
- 국힘 ‘간호사 단독 개원’ 담은 간호사법 추진, 간호계 표 의식?
- 간협, 간호법 재추진…"尹 의료개혁 뒷받침하는 법안될 것"
- 政 “PA 시범사업 중 사고 발생, 간호사에게 법적 책임 안 물어"
- PA 간호사에 '진단서 초안 작성‧'초음파 검사' 등 허용
- 복지부, PA 가능 행위 ‘100여개’ 정리 의료기관 배포
- 간호법 제정 재다짐한 간협…與野 "힘 싣겠다"
- "간호사에 불법진료 지시…법적 보호 조치 필요"
- 전공의 단체사직 대응안이 PA 간호사?…현장은 "차질 불가피"
- 의료연대본부 "의정 갈등 속에 간호사 등만 터져"
- 전공의 떠나자 서둘러 시행된 PA 시범사업에 간호 현장 ‘불안’
- "간호사 특혜 재탕"…간호법 재추진에 커지는 반발
- "쓰고 버리는 '티슈노동자' 간호사…21대 국회 간호법 제정해야"
- 간협, 21대 국회 간호법 제정에 총력…대규모 집회 예고
- 간협 "더 이상 못 버텨…21대 국회서 간호법 제정해야"
- "간호법 제정 안되면 정부 시범사업 전면 보이콧"
- 간협 "환자 내팽개친 의사 대신 간호사가 의료 지켰다"
- 간협 "21대 국회 회기 내 간호법 제정하라"
- 좌초된 간호법에 간호계 "허탈…정치권 사과해야"
- 김윤 의원 "미완성 간호법, 보건의료인력지원법과 패키지 추진"
- 간호사 포기 비정규직 전전하는 간호대생들…“政, 대책 내놔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