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신약개발사업단, ESMO 2023 주요 발표 소개
“MSD의 30조원 빅딜 등 ADC에 대한 관심 이어져” 

KDDF 'ESMO 2023 빅파마 주요 ADC 발표 결과' 보고서 갈무리.
KDDF 'ESMO 2023 빅파마 주요 ADC 발표 결과' 보고서 갈무리.

지난 10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유럽 최대 암학회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ESMO 2023)’에서 항체-약물접합체(ADC) 파이프라인 임상 결과가 다수 공개되면서 업계 이목이 모인다.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은 최근 ‘ESMO 2023 빅파마 주요 ADC 발표 결과’라는 연구 동향 보고서를 펴냈다. 보고서 저자인 국가신약개발사업단 기획팀 진주연 연구원은 ESMO 2023에서 공개된 ADC 파이프라인 중 글로벌 제약사 주요 임상 연구 발표 5건을 선정했다.

보고서에서 소개된 ADC 파이프라인은 ▲다이이찌산쿄/아스트라제네카 ‘엔허투(성분명 트라스투주맙데룩스테칸)’와 ‘Dato-Dxd(성분명 다토포타맙데룩스테칸)’ ▲길리어드사이언스 트로델비(성분명 사시투주맙 고비테칸) ▲아스텔라스 파드셉(성분명 엔포투맙 베도틴) 등이다.

엔허투의 경우 DESTINY-Breast 04의 후속 결과가 업데이트됐다. 이전 중간 분석 결과보다 14개월 연장된 중앙값 32.0개월 추적관찰 후 엔허투 투여군 373명의 mOS는 22.9개월, TPC(Treatment Of Physician's Choices) 대조군 184명의 mOS는 16.8개월로 집계됐으며, mPFS는 엔허투 투여군이 8.8개월, 대조군이 4.2개월로 확인됐다. 또한, 대조군 대비 사망 위험이 42% 감소했고 질병 진행 또는 사망위험은 71% 감소했다.

다이이찌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가 공동 개발한 엔허투는 HER2를 표적으로 하는 트라스트주맙 항체와 topoisomerase I 저해제 계열인 데룩스테칸(Dxd)을 페이로드로 사용하는 ADC다. 엔허투는 2019년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HER2 양성 유방암 치료제’로 최초승인을 획득한 후 지난 2022년 ‘HER2 저발현 유방암 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했다.

아울러 다이이찌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는 이번 ESMO 2023에서 엔허투 후속 약물로서 TROP2를 타깃으로 DXd 약물을 결합한 Dato-Dxd 3상 임상시험(TROPION-Breast01)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전에 화학요법치료를 받은 전적이 있는 절제 불가 또는 전이성 HR+/HER2-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화학요법 대비 Dato-Dxd의 효과를 평가했다.

결과 DatoDXd 투여군의 mPFS는 6.9개월, 대조군은 4.9개월로 무진행 생존 기간을 개선했으며 ORR값 또한 Dato-Dxd군이 36.4%, 대조군은 22.9%로 향상됐다. OS의 경우 중간 분석 결과값이 Dato-Dxd군이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 유의성에 도달하지 못해 추가 시험이 진행 중이다.

프레지덴셜 심포지엄에서는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Dato-Dxd의 TROPION-Lung01 3상 연구 결과도 공개됐다. 임상시험에는 환자 604명이 참여했으며 그중 57%는 이전에 1차 치료를 받았고, 35%는 2차 치료를 받았으며 88%는 이전에 면역관문억제제(ICI) 치료를 받았다.

1차 평가 변수인 mPFS는 Dato-Dxd 투여군이 4.4개월, 화학요법 대조군(도세탁셀 투여군)이 3.7개월로 확인됐으며, OS 중간 데이터에서 Dato-Dxd 투여군은 12.4개월, 화학요법 대조군(Docetaxel)은 11.0개월로 집계됐다. 확인된 ORR은 Dato-Dxd 투여군에서 2배 이상 높았으며(26.4% vs 12.8%), 용량 감소 또는 투여 중단으로 이어지는 3등급 이상의 이상 반응(TRAEs)은 더 적게 나타났다.

길리어드사이언스는 이번 ESMO 2023에서 트로델비를 TNBC 2차 표준 치료 옵션으로 강화하기 위한 실제 데이터와 함께 전이성 HR+/HER2-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TROPiCS-02) 사후 효능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TROPiCS-02 임상 연구는 이전에 최소 한 번의 내분비 요법(ET), 탁센, CDK4/6 억제제, 혹은 2~4차 화학요법 치료를 받은 54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트로델비 투여군과 TPC 대조군의 효능을 비교했다. mPFS는 Trodelvy군에서 5.5개월, 대조군에서 4.0개월로 확인됐으며 mOS 또한 유의미하게 향상(14.4개월 vs 11.2개월)돼 효과를 입증했다.

아스텔라스는 프레지덴셜 심포지엄에서 파드셉과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병용요법과 표준요법의 효능을 비교 평가한 3상(EV-302)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치료 이력이 없는 국소 진행성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 886명을 대상으로 17.2개월(중앙값)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키트루다 병용투여와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의 효과를 비교했다.

1차 평가 변수 중 하나인 mOS는 파드셉 병용군에서 31.5개월, 대조군(항암화학요법)에서 16.1개월로 집계됐으며, mPFS는 병용 군에서 12.5개월, 대조군에서 6.3개월로 나타나 키트루다 병용투여는 기존 화학요법 대비 mPFS와 mOS를 2배 가까이 증가시켰다.

진 연구원은 “올해 ESMO 2023에서는 다수의 ADC 파이프라인의 임상 결과가 공개되면서 주목을 받았으며 학회 기간 동안에 MSD가 다이이찌산쿄의 ADC 치료제 3종(HER3-Dxd, I-Dxd, R-Dxd)에 대해 220억 달러(약 30조원) 규모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는 빅딜도 성사됐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