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우 회장 "책임자 문책 등 의료계 신뢰부터 사야"
의학계도 여야의정협의체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까지 다뤄야 성사된다고 했다. 책임자 문책과 젊은 의사 참여 보장도 요구했다. 그래야 정부가 의료계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거라고 했다.
대한의학회 이진우 회장(연세의대)은 11일 기자간담회에서 "협의체 구성 제안이 나온 사실 자체는 매우 환영한다. 그러나 협의체가 실질적으로 효과를 발휘하려면 정부의 태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 의료계가 정부를 신뢰할 수 있도록 실효적인 조치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회장은 "지금 의료계는 정부에 대한 불신이 팽배하다. 어느 날 갑자기 협의체 구성했으니 들어와서 논의하자는 것은 부부싸움 하면서 (배우자에게) 맞다가 이제 안 때릴 테니까 들어와서 논의하자(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협의체 운영 이전에 의료 사태 책임자의 사과와 정부의 책임자 문책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또한 협의체 안에서 2025학년도와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문제도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했다.
무엇보다 "의대생과 전공의 의견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 회장은 "(협의체가) 전공의와 의대생 복귀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 않나. 그러니 이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뒤에 협의체를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고정민 기자
jmk02@docdocdoc.co.kr
관련기사
- 민주당 "윤석열발 의료대란…대통령 양보하라”
- 여야 ‘25년 정원 논의’에 의료계도 반응…"백지화 논한다면 참여"
- 政, 의학교육 여건 개선에 2030년까지 ‘5조’ 투자
- 민주당 "醫 없는 협의체 무슨 의미…대통령 사과로 대화 물꼬 터야"
- 여야의정협의체 급물살 타는데 전공의·의대생, 임현택 회장 ‘손절’
- ”의료대란 해결 마지막 기회…2025년 의대 정원 논의해야“
- 의협 "의대 증원, '백지화' 후 빨라도 2027학년도부터 가능"
- '25년' 빼고 '26년' 의대 정원부터 협의? 의료계 "의미 없다"
- 국민의힘 "의료계 대화하자"…협의체 구성, 26년 증원 재검토 제안
- "尹정부, 국민 생명 걸고 모험"…민주, 여·야·의·정 협의체 제안
- '25년 정원 논의' 움직임에 수험생 혼란 "올해가 의대 막차?"
- 국힘 "여야의정협의체 참여해달라" 공문 하루만에 "출발하자"
- 서울의대 비대위 만난 민주당 “25년 증원 재논의, 정부 양보하라”
- 한덕수 총리 “여야의정협의체 출범해도 25년 증원 조정 불가”
- 의료계 "폭정 멈추도록 국민이 쓴소리 해 달라" 호소
- 협의체 재촉 국힘에 민주당 "명절 밥상에 '중재자 한동훈' 올리려"
- 환자단체도 "여야의정협의체? 우리도 참여하겠다"
- 전의교협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논의한 적도 없다"
- 전공의, 국회 협의체 참여할까…“한동훈 대표, 박단 위원장과 소통”
- 보건의료노조 "72시간 마라톤 협의로 추석 전 협의체 가동하라"
- “의료계 ‘대략적’ 안만 줘도 2026년도 의대 정원, 원점 재검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