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우 회장 "책임자 문책 등 의료계 신뢰부터 사야"

대한의학회도 2025학년도 의대 정원까지 여야의정협의체에서 다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년의사).
대한의학회도 2025학년도 의대 정원까지 여야의정협의체에서 다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년의사).

의학계도 여야의정협의체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까지 다뤄야 성사된다고 했다. 책임자 문책과 젊은 의사 참여 보장도 요구했다. 그래야 정부가 의료계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거라고 했다.

대한의학회 이진우 회장(연세의대)은 11일 기자간담회에서 "협의체 구성 제안이 나온 사실 자체는 매우 환영한다. 그러나 협의체가 실질적으로 효과를 발휘하려면 정부의 태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 의료계가 정부를 신뢰할 수 있도록 실효적인 조치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회장은 "지금 의료계는 정부에 대한 불신이 팽배하다. 어느 날 갑자기 협의체 구성했으니 들어와서 논의하자는 것은 부부싸움 하면서 (배우자에게) 맞다가 이제 안 때릴 테니까 들어와서 논의하자(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협의체 운영 이전에 의료 사태 책임자의 사과와 정부의 책임자 문책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또한 협의체 안에서 2025학년도와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문제도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했다.

무엇보다 "의대생과 전공의 의견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 회장은 "(협의체가) 전공의와 의대생 복귀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 않나. 그러니 이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뒤에 협의체를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