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질환연합회, 환자단체 참여하는 '여야환의정협의체' 요구
국회에서 논의되는 여야의정협의체에 소비자단체에 이어 환자단체도 참여를 요구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12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왜 환자 의견은 묻지 않는가”라며 환자단체도 참여하는 ‘여야환의정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중증질환연합회는 “이제라도 진지하게 해법 모색에 나선 것을 환영한다”면서 “그러나 여야의정 협의체를 만든다면서 의료계 의견만 구하고 환자단체의 의견은 묻지 않는 것에 실망하고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중증질환연합회는 “국회와 의사, 정부는 누굴 위해 존재하는가”라며 “여야의정협의체라는 말 속엔 환자라는 말이 어디에도 없다. 환자가 빠진 그 어떤 협의체 구성도 지지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치권이 여야의정협의체 구성을 위해 의료계의 일방적인 요구를 수용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중증질환연합회는 “일부 의료계에서 2025학년도 의대 증원까지 재검토하라고 주장하는 것도 기가 막히는데 정치권 일부는 우리 의견도 묻지 않고 의료계의 요구를 일방적으로 수용하려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이젠 여야환의정협의체를 만들어 환자들이 요구사항을 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들은 현재 근무 중인 의사 명단을 담은 ‘블랙리스트’를 작성한 사람을 엄벌하라며 “환자가 선택한 의사를 집단적으로 따돌리는 행위다. 공공연한 살인 모의와 무엇이 다른가. 정부가 말이 아닌 행동으로 법과 정의를 환자들에게 보여주길 요구한다”고 했다.
중증질환연합회 소속 단체들도 여야환의정협의체 구성을 촉구했다.
한국식도암환우회는 “국민의 지지와 신뢰를 얻지 못하는 한 의료계 주장은 실현되기 어렵다. 이에 여야의정 협의체에 환자의 자리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한국다발골수종환우회는 “환자가 의료 서비스의 최종 소비자인 만큼 협의체에 참여한다면 포괄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루게릭연맹회는 ▲전공의 비율 축소 ▲해외 의사 면허자 필수의료에 투입 ▲장기적인 의대 정원 증원 대책 마련 ▲지방의료 활성화 등을 요구했다.
관련기사
- 협의체 재촉 국힘에 민주당 "명절 밥상에 '중재자 한동훈' 올리려"
- 한덕수 총리 “여야의정협의체 출범해도 25년 증원 조정 불가”
- 서울의대 비대위 만난 민주당 “25년 증원 재논의, 정부 양보하라”
- 국힘 "여야의정협의체 참여해달라" 공문 하루만에 "출발하자"
- ‘당정 엇박자’에 ‘여야의정협의체’ 회의적인 醫 “무슨 의미”
- 의학회도 "여야의정협의체, 2025년 증원 다뤄야 참여 의미"
- 여야 ‘25년 정원 논의’에 의료계도 반응…"백지화 논한다면 참여"
- 여야의정협의체 급물살 타는데 전공의·의대생, 임현택 회장 ‘손절’
- 전의교협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논의한 적도 없다"
- 당정 "추석 전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 추진"
- "의료계 블랙리스트로 전공의 등 의료진 피해 심각"
- 보건의료노조 "72시간 마라톤 협의로 추석 전 협의체 가동하라"
- 박단 "줄곧 소통? 한동훈 대표 지속적으로 만남 거절"
- "의료대란 보상법, 의료계 책임 물지 않으면 '정치선동' 불과"
- 환자단체 “의대생, 복귀는 용기…무늬만 복귀는 안 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