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교협, 교수 3039명 참여 설문조사 결과 발표
89% 하반기 모집 반대…지원자 선발 교수 거의 없어
“전공의 7대 요구 상기하고 의료·교육 원상 복구하라”
전공의가 사라진 수련교육 현장에 회의감이 짙게 퍼져 있다. 교수들은 전공의들이 내년에도 돌아오지 않을 수 있다고 봤다. 하반기 모집은 전공의 복귀를 막는 걸림돌로 생각했다. 이렇게 전공의들이 돌아오지 않고 의대생 유급 사태가 현실이 되면 교수 10명 중 4명은 사직하겠다고 했다.
전국의대교수협의회가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나타난 교수 사회 여론이다. 지난 19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된 이번 설문조사에는 전국 의대 교수 3,039명이 참여했다.
전의교협이 26일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수들은 올해 안에 전공의들이 돌아올 가능성은 없다고 봤다. 응답자의 40.0%인 1,246명은 2025년에도 전공의 복귀가 어렵다고 했다. 2025년 3월 내 돌아오지 않겠느냐는 응답은 49.4%(1,501명)였다.
교수 89.2%인 2,711명은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반대했다. 찬성은 9.1%(277명)뿐이었다. 하반기 모집을 해도 ‘소위 필수과, 비(非)필수과 가릴 것 없이 전공의 복귀가 어렵다’는 응답이 60.5%(1,850명)였다. 33.9%(1,030명)는 일부 복귀하더라도 인기과 위주일 것이라는 했다.
오는 31일까지 진행되는 하반기 모집에 기존 전공의가 아닌 다른 지원자가 오면 뽑지 않겠다고도 했다. 응답자의 50.2%인 1,525명은 있어도 수련병원과 상관없이 하반기 전공의를 뽑지 않겠다고 했다. 40.0%인 1,336명은 제자였던 기존 사직 전공의가 다시 지원하면 뽑겠다고 했다. 하지만 사직 전공의가 복귀라는 편한 길을 두고 하반기 모집을 통해 다시 지원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게 전의교협 설명이다.
의대 교수 10명 중 4명 “사직하겠다”…고민 중인 교수도 많아
교수들은 사직 전공의 자리를 지켜야 그들이 돌아올 수 있다(1,828명, 60.2%)고 봤으며 하반기 모집을 해도 ‘소위 필수과로 복귀는 어렵다’(1,718명, 56.5%)고 했다(복수 답변). 또한 96.8%인 2,941명은 이번 하반기 모집으로 ‘지역의료 붕괴가 더 가속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무응답 전공의’ 일괄 사직 처리에 대해서도 66.9%인 2,034명은 반대했다. 찬성 의견은 30.1%(914명)이었다. 교수들은 전공의 사직서를 수리해야 한다면 제출 시점인 2월이어야 한다고 했다(2,921명, 96.1%). 정부 방침대로 6월(0.8%)이나 7월(3.1%)로 사직서를 수리해야 한다는 의견은 3.9%에 불과했다.
교수들은 일괄 사직 처리와 하반기 모집이 전공의와 관계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2,754명, 90.6%)이라고 우려했다. 응답자의 34.6%(1,048명)는 전공의들이 결국 수련병원을 떠나고 의대생들이 유급되면 사직하겠다고 했다. 사직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54.9%(1,662명)였다. 전의교협은 사직 여부에 대해서는 신중한 결정을 요청했으며 사직을 고민하고 있다는 기타 답변도 많았다고 했다.
의대생과 전공의 편에 서 있는 집단을 묻자(복수 답변)에는 전의교협과 전국의대교수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를 가장 많이 꼽았다(66.9%). 하지만 ‘누구도 의대생과 전공의 편에 서 있지 않다’는 응답이 두 번째로 많았다(33.0%). 대한의사협회(690명), 개원의나 봉직의(351명)가 의대생과 전공의 편이라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전의교협 “의료·교육 현장 붕괴 멈추고 원상 복구하라”
전의교협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날 성명서를 내고 “무응답 전공의 일괄 사직과 대규모 하반기 모집은 잘못된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전의교협은 “아무리 수련이 현대화된다고 해도 조제 성격의 수련제도는 지속할 것”이라며 “정부와 수련병원이 강압적으로 이런 수련환경을 파괴하는 것은 잔인하며 폭력적인 처사”라고도 했다.
전의교협은 “하반기 모집은 사직한 전공의 자리는 그대로 보존하고 원래 취지대로 3월 결원에 대해서만 진행돼야 한다”며 “(지금처럼 대규모로) 하반기 모집을 진행하면 사직한 전공의들의 복귀를 막아 문제 해결은 더 어려워진다”고 우려했다. 이어 “정부의 의료농단, 교육농단으로 2025학년도 의대 신입생 교육은 불가능하게 됐다. 이에 따라 의대 교수 소임이 사라지고 많은 교수는 현직을 떠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도 했다.
이들은 “의대 정원 증원 관련 모든 절차를 파행적으로 진행하는 보건복지부와 교육부는 마땅히 그 책임을 져야 한다”며 “정부는 전공의 7대 요구 사항을 상기해 대한민국 의료체계와 의학교육 현장 붕괴를 당장 멈추고 원상 복구되도록 노력하라”고 요구했다.
관련기사
- 의정 갈등 장기화 속 "잘못된 의료정책 우리 손으로 고치자"
- ‘왜 2000명인가’ 의대 증원 정책 국정조사 청원도 나왔다
- 의대 교수들, '무조건 진급' 종용 이주호 장관 공수처 고발
- 의대 교수들 "하반기 모집 꼼수로 전공의 더 멀어져"
- 전공의 사직 장기화에 전문의도 대거 이탈…1451명 사직서 제출
- ‘인기과’ 교수들 중심 ‘가을 턴 보이콧’ 행렬…"제자 자리 지키겠다"
- 전공의들 ‘강경’하지만 복지부는 “복귀 망설이고 있다” 판단
- ‘빅6병원’ 교수들 "땜질 처방 하반기 전공의 모집" 중단 요구
- 기존 전공의 자리 지키는 의대교수들 “다른 전공의로 대체 않는다”
- 고려의대 교수들 "전공의들에게 미안…돌아올 자리 지키겠다"
- 복지부 “전공의 7648명 사직 처리…하반기 7707명 모집 신청”
- 지방 전공의 '빅5' 간다? 지방수련병원 현장선 "글쎄"
- "합리적 정책을 특권으로 왜곡…정부, 대화 흉내 끝내라"
- ‘의대 증원 진실 규명’ 국정조사 국민청원 ‘5만명’ 돌파
- ‘꽉 막힌’ 의사 배출? 野 “설익은 정책 일단 던진 尹정부 탓”
- "모금으론 한계"…사직 전공의→일반의로 활로 찾는 개원가
- [단독] 세브란스병원 “하반기 지원자만 승급”…빅5도 ‘가을 턴’ 못 구해
- 복지부 “전공의들 복귀 용기내 달라…'수련보이콧' 가능성 낮아"
- 상급종병 하반기 전공의 지원율 0.8%…빅6 가리지 않고 ‘전멸’ 수준
- 하반기 전공의 모집 '전멸'에 醫 "정부 갈라치기 안 통했다"
- '가을 턴' 지원자 104명뿐…빅6병원 46명, 서울아산은 0명
- "'난 안 틀렸다'는 정부와 대화 어려워"…'태도 문제' 거론한 전공의
- 전의교협 “사상 초유 의료 위기…政, 책임지고 관계자 문책하라”
- 政, ‘다기관 협력’ 전공의 교육체계 본격 논의
- 의대생들 “2학기도 휴학하겠다”…예과 1학년 가장 강경
- 거리로 나오는 의대 교수들…“의료정상화 위해 행동하겠다”
- 교수들, 서남의대 사태 재현 우려…“정부, 의료붕괴 방관”
- 의대 교수들 “편법으로 이름뿐인 전문의 양성…독단 멈춰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