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규홍 장관 “환자들, 전공의 1명만 돌아와도 기뻐해”
김국일 정책관 "교수들, 전공의 모집되면 수련교육할 것"
하반기 모집 마감이 하루 남았지만 여전히 지원율이 저조하자 정부는 사직 전공의들에게 수련병원으로 돌아와 달라고 했다. 전공의 복귀를 위한 추가 대책은 없다고 했으며 의대 교수들의 ‘수련 보이콧’도 실현 가능성을 낮게 봤다.
보건복지부 조규홍 장관은 30일 오전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며 “정부는 의료현장과 수련 과정을 조속히 정상화하기 위해 수련 특례를 적용할 예정이지만 아직까지 지원 인원이 많지 않은 실정”이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환자단체에 따르면 환자들은 단 1명의 전공의가 현장에 돌아온다는 소식에도 기뻐하고 있다”며 “복귀를 망설이고 있는 사직 전공의들은 환자와 본인 자신을 위해 용기를 내어 달라”고 했다.
이어 “정부는 사직 전공의들이 복귀를 망설이는 요인을 꼼꼼히 점검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적극 대응해나가겠다”면서 “수련병원과 함께 복귀한 전공의들이 개선된 근무환경에서 양질의 수련을 받고 전문의 자격도 취득할 수 있게 힘쓰겠다”고도 했다.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방안이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논의하는 만큼 대화에 참여해 달라고도 했다.
조 장관은 “전공의 수련 관련 사안은 오는 8월 말 발표 예정인 제1차 의료개혁 로드맵 핵심과제 중 하나로 현재 의료개혁특위에서 활발히 논의 중”이라며 “여전히 대화의 기회는 열려있다. 대한의사협회, 전공의들도 참여한다면 의료개혁 완수에 한 발 더 다가가고 의정 간 신뢰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의대 교수들이 하반기 전공의 모집 확대에 반발해 '수련 보이콧'을 선언했지만 실행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복지부 김국일 보건의료정책관은 이날 중대본 정례 브리핑에서 ”수련 보이콧에 대해 여러 교수와 병원장들 의견을 들어보면 실제 전공의를 뽑은 이후 교수들이 그들을 수련을 하지 않는 가능성은 낮다고 한다“며 ”일단 수련병원으로서 수련을 맡고 있는 지도전문의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 줄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만약 그런 (수련 보이콧) 상황이 발생한다면 그 때 가서 여러 가지 검토한 방안을 적용하는 부분을 강구하겠다“며 법적 대응을 시사했다.
관련기사
- 증원 의대 의평원 평가 탈락 우려에 복지부 "대화로 해결"
- 신규 전문의 배출 '비상'인데 정부 대책은 '전문의 중심 병원'
- 복지부, 전공의 장악용 규정 마련? 대전협 "수평위로 행정 독재"
- 교수들 “내년에도 전공의 복귀 어렵다”…회의감에 사직 고민↑
- 政 "급여 선지급 '유예' 병원, 집단휴진 철회 시 즉시 지급"
- “이대론 의대생·전공의 안 온다” 교수들, '政 대승적 결단' 촉구
- 政 “환산지수 차등화로 불균형 교정, 의료계 갈라치기 의도 없다”
- 상급종병 하반기 전공의 지원율 0.8%…빅6 가리지 않고 ‘전멸’ 수준
- '가을 턴' 지원자 104명뿐…빅6병원 46명, 서울아산은 0명
- 경찰 박단 위원장 조사에 전공의들 “왜 지금?” ‘부글부글’
- 한덕수 총리 “의대 증원 백지화 빼고 다 수용, 돌아오라”
- 복귀 전공의 특례 결정 주체, ‘수평위’서 ‘복지부장관’으로 변경
- “수련 특례 법제화? 양질 전문의 양성 관심 없는 미봉책”
- 政, 복귀 전공의 수련기간 부족해도 추가수련 없이 수료 인정
- 권성동 "전공의 복귀 시급, 장애물 제거해야…수련·입영 특례 검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