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Pex 2022, 암생존자 일상 회복 방안 공유
암생존자 위해 암 관리서비스 확대 필요성 제기

국립암센터 유방암센터 정소연 외과 전문의가 '암생존자를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나'를 주제로 진행된 패널 토의에 참여해 암생존자 사회복귀를 위해선 암 관리서비스가 정신적, 사회경제적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사진: 청년의사)
국립암센터 정소연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장은 26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명지병원에서 열린 'HiPex 2022 컨퍼런스'에서 암생존자를 돕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했다(사진: 청년의사).

"암 진단 후 외모가 변했거나 영정사진이 될까 봐 사진을 찍지 않는 분들이 많습니다.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에서 진행된 행사를 통해 암생존자가 사진을 찍는 등 작게나마 사회복귀를 위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국립암센터 정소연 중앙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장은 지난 26일 청년의사·삼정KPMG 주최로 경기도 고양시 일산 명지병원에서 열린 'HiPex 2022(Hospital Innovation and Patient Experience Conference 2022, 하이펙스 2022)'에서 이같이 말했다.

정 센터장은 암을 이겨낸 생존자들을 위해 암관리서비스가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존 암 관리서비스는 진단과 치료 위주에 머물고 있지만 치료를 마친 암생존자의 사회복귀를 도울 수 있도록 확대돼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암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치료 후 사회복귀를 위한 후유증 관리도 중요해지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가 조사한 국내 암종별 5년 생존율에 따르면 지난 1993년부터 2019년까지 암 전반에 걸쳐 생존율이 증가했다. 특히 갑상선암 생존율은 1993~1995년에 94.5%였으나 2015~2019년에는 100% 수준으로 향상됐다. 같은 기간 유방암은 14.4%p 상승해 93.6%로 개선됐다.

정 센터장은 "암생존자들은 통증이 있으면 재발을 우려해 응급실을 찾고, (이런 상황을) 몇 번 반복하다보면 잠도 못 자고, 우울한 상황을 겪는다"며 "암 치료 후 다양한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어려움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고 말했다.

이어 "결국 암생존자들의 건강한 사회복귀를 목표로 암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 의료진으로서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진료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암생존자가 사회로 나올 수 있는 계기를 만드는 것도 의료진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에서 시행된 행사를 사례로 들어 암생존자들을 사회복귀로 이끈 경험을 소개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017년 7월 '암생존자 통합지지 시범사업'을 시작하면서 국립암센터 외에도 가천대길병원, 충남대병원 등 전국에 13개 의료기관에 권역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를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정 센터장은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는 암생존자와 가족건강증진, 사회복귀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고 신체·정신 건강, 정보 교육, 사회·경제적 문제에 대한 서비스가 실시된다"고 말했다.

정 센터장은 "암생존자 지원을 위해 민간기업들도 협조한다. 한 글로벌 의료기업은 암 생존자와 가족들을 대상으로 사진을 찍어주고, 촬영 스킬을 알려줬다"며 "암 진단 후 외모가 변했거나 영정사진이 될까 봐 사진을 찍지 않는 암생존자들이 있지만 행사를 통해 작게나마 사회복귀를 위한 변화가 있었다"고 했다.

고양시 일산 명지병원에서 열린 'HiPex 2022 컨퍼런스'에 
청년의사 주최로 26일 경기도 고양시 명지병원에서 열린 'HiPex 2022 컨퍼런스'에 국립암센터 정소연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장, 세브란스병원 대장항문외과 한윤대 교수,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혜윤 교수가 참여했다(사진: 청년의사)

세브란스병원 대장항문외과 한윤대 교수는 외과의사 관점에서 암 치료 후 사회복귀가 어려운 원인을 분석했다.

한 교수는 "외과의사 무기는 수술이기 때문에 수술을 통한 완치를 노린다. 치료가 끝나고 암을 이겨낸 환자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다"며 "수술을 통해 생기는 문제점으로 유방은 림프부종으로 인해 팔이 붓고, 대장암의 경우 장루 주머니를 찰 수 있다"고 말했다.

암 수술을 통해 신체 구조적 변화와 물리적 후유증이 생기기 때문에 암 치료 후 합병증·후유증 관리와 사회적 인식 변화가 통합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게 한 교수의 설명이다.

한 교수는 "결국 암 치료는 지역사회와 자가관리가 연계돼야 한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고민해야 한다"며 "적절한 수가와 진료 가이드라인 구축, 암 재발에 관한 책심소지 문제 해결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혜윤 교수는 치료 후 암생존자가 심리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게 현실이라며 암을 극복하고 새로운 삶을 산다고 생각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박 교수는 "환자들은 일상으로 돌아가는 것을 가장 기다린다. 하지만 항암치료와 항호르몬으로 인한 피로와 통증, 열 오름 등 어려움을 겪고 현실은 그렇지 않다"며 "암 발병 이전으로 돌아가는 게 아니라 이후의 삶을 새롭게 꾸려가야 간극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체력에 맞는 적절한 신체활동, 건강한 식사, 규칙적인 수면이 필요하고 가족과 친구, 지인 등 도움을 주고받는 소셜 서포트가 중요하다"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