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 입은 의대생들 설득에 진땀…“학장도 믿지 않아”
"일부 의대는 학장과 의대생 간 갈등 골 깊어" 한숨도

정부가 사실상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돌리기로 의견을 모았지만 의대생 설득은 쉽지 않아 보인다. 소통에 나선 의대 학장들도 답답함을 토로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정부가 사실상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돌리기로 의견을 모았지만 의대생 설득은 쉽지 않아 보인다. 소통에 나선 의대 학장들도 답답함을 토로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돌리기로 여당과 정부가 사실상 의견을 모으면서 의대 학장들 어깨가 무거워졌다. ‘의대생 복귀’를 위한 설득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의대에서는 학장과 의대생들 간 갈등이 빚어지기도 해 난항이 예상된다.

내년도 의대 정원 원점 검토에 원론적 입장을 보이던 보건복지부 지난 6일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한 각 대학 총장들의 마음에 공감한다”며 “당사자인 의대생들의 입장을 감안해 정부 내에서 충분히 협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오후 열린 대통령실과 정부, 여당 등 당정대는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문제를 논의한 끝에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돌리고 2027년부터는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에서 의견을 모아 의대 입학정원을 결정하는 게 “타당하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같은 내용으로 정부 방침이 결정되더라도 의대생 복귀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의대 학장들은 4월 말을 마지노선으로 두고 의대생 설득에 적극 나서겠다는 입장이지만, 정부로부터 이미 ‘상처’ 입은 이들의 마음을 돌릴 방법이 없다고 답답해했다.

서울지역 의대 A학장은 “의대 학장들도 그 동안 학생들과 끊임없이 소통을 해왔다. 아직까지는 학생들도 (복귀 여부에 대해) 마음을 정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며 “복귀를 거부하는 강경한 학생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학생들도 여전히 고민이 큰 것 같다”고 전했다.

A학장은 “학생들도 정부가 더 이상 정원을 줄이기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요구해왔던 필수의료 패키지 철회나 정책을 무리하게 추진한 정부 인사들의 사과 등이 빠져 학생들을 얼마나 움직일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했다.

A학장은 “필수의료 패키지 철회 등은 단기간 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기 때문에 학생 복귀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는 4월 말까지 설득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 같다”면서 “그러나 쉽지 않다. 이미 마음이 상할 대로 상해 학장도 믿지 않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

또 의대 학장들이 정부에 내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으로 되돌리자고 촉구한 이유는 “의대생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었다고 강조했다. ‘의대생을 돌아오게 해 정원 동결을 얻어냈다’는 일부 의대생들의 오해에 대한 설명이다.

그러나 일부 의대의 경우 학장과 의대생들 간 갈등의 골이 깊어져 대화 자체가 어려워졌다는 전언도 나왔다.

경남지역 의대 B학장은 “이미 의대 증원 정책 추진으로 학생들이 피해자가 돼 버렸다. 학생들과 전공의들이 모두 피해 당사자다. 지난 1년 간 정부의 모욕적이고 자극적인 표현들로 상처를 받아 쉽사리 마음의 문을 열지 못하는 부분도 있다”고 말했다.

B학장은 “몇몇 의대는 교수들과 학생들 사이 틈이 벌어져 복귀 설득 자체가 어려울 것 같다”며 “학장들도 4월 말까지는 어떻게든 의학교육을 정상화시켜야 한다는 조급함에 학생들 마음을 공감해주지 못한 부분도 있는 것 같다”고 했다.

B학장은 “의학교육 정상화를 위해서는 일부만 들어와서도 안 된다. 모두가 돌아와야 한다. 어느 한 쪽이 분명한 잘못을 저질렀다 하더라도 지금은 상대방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충분히 고려해 판단해야 할 때”라며 “학생들이 마음을 돌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도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