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엔 ‘에크노글루타이드’ 및 한독 ‘리라글루티드’
한미 개발 ‘에페글레나타이드’ 국내 3상 개시
국내 제약사들이 GLP-1유사체(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비만 치료제 도입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GLP-1은 음식을 섭취했을 때 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당 조절에 중요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한다. 이 과정에서 뇌의 식욕 중추를 건드려 식욕을 억제하고, 적은 식사로도 오랜 포만감을 느끼게 만들어 체중을 감량하는 효능이 드러나면서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현재 대표적인 비만치료제로 자리잡은 노보노디스크의 세마글루타이드 성분 비만 치료제 ‘위고비’ 등이 GLP-1 계열 약제다. GLP-1 유사체는 GLP-1과 유사하게 작용하는 약물을 의미한다.
지난 2일 HK이노엔은 중국 바이오기업 사이윈드 바이오사이언스(SCIWIND BIOSCIENCES CO., LTD., 이하 ‘사이윈드’)와 GLP-1유사체 ‘에크노글루타이드(XW003)’의 국내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라이선스 및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HK이노엔은 사이윈드에 계약금과 단계별 기술료 외에 출시 후 매출에 따른 경상기술료를 지급하고, ‘에크노글루타이드’의 국내 독점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갖는다.
‘에크노글루타이드’는 주 1회 투여하는 주사제로, 현재 중국에서 제2형 당뇨 및 비만 3상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에크노글루타이드’는 앞서 중국과 호주에서 진행된 2상에서 혈당 강하 및 체중 감량 효과와 함께 안전성을 확인한 바 있다.
HK이노엔은 국내에서 ‘에크노글루타이드’의 제2형 당뇨 및 비만 3상을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한독도 GLP-1 유사체 기반 비만 치료제를 국내에 도입한다.
한독은 인도 소재의 바이오 제약사 바이오콘(Biocon)과 ‘리라글루티드’ 성분 비만 치료제에 대한 국내 독점 판매 및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바이오콘이 개발한 '리라글루티드'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낮추거나 비만 환자의 체중을 줄이기 위해 개발된 GLP-1 유사체로, 합성 펩타이드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동일 성분의 비만치료제로는 노보노디스크의 ‘삭센다’가 있다.
이번 계약으로 한독은 해당 비만 치료제의 국내 허가 및 판매‧유통을 담당하게 된다.
이외에도 ▲한미약품 ▲광동제약 ▲대원제약 ▲동아에스티 ▲유한양행 ▲일동제약 ▲인벤티지랩 ▲디앤디파마텍 ▲펩트론 ▲고바이오랩 등 10여 곳의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GLP-1 유사체 기반 비만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이 중 한미약품의 비만 치료제 개발 속도가 가장 빠르다. 한미약품의 GLP-1 계열 비만 치료제 ‘에페글레나타이드’는 지난 1월 국내 3상 임상시험을 개시했다. 목표 임상 종료 시점은 오는 2026년 상반기로, 한미약품은 ‘에페글레나타이드’를 향후 3년 내 국내에서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다.
이밖에 디앤디파마텍과 고바이오랩, 일동제약 등은 경구용 비만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대원제약, 광동제약, 동아에스티 등은 패치형 마이크로니들 제형의 GLP-1 계열 비만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유진투자증권 권해순 연구원은 “IQVIA는 2027년까지 의약품 시장 성장을 견인할 주요 질환 치료제군 중 가장 높은 성장성을 보일 치료제군은 비만 치료제로, 연평균 성장률이 35%를 상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며 “최근의 비만 치료제 열풍이 단기간에 끝날 것 같지 않다, 2030년까지 1,000억달러(한화 약 136조8,000억원)를 상회하는 시장이 형성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 한독, GLP-1 비만약 국내 도입에 주가 20%대 상승
- HK이노엔, 3세대 GLP-1 비만치료제 도입
- 상장 앞둔 디앤디파마텍, ‘먹는 비만약’ 개발 경쟁력 강조
- 한미약품‧유한양행 가세한 비만약 개발…최신 화두는?
- 한미약품, 차세대 비만 치료제 美 1상 IND 신청
- 유노비아-대원제약, ‘P-CAB’ 공동개발 계약
- 유한양행, 또다른 폐암 신약으로 美 공략 채비
- 한미약품 ‘롤론티스’, 해외 시장 확대 잰걸음
- HK이노엔, '케이캡' 물질특허 지켰다
- 동아제약, '사랑나눔바자회' 열어 소외계층 지원
- 유한양행, 최영기 중앙연구소 부소장 영입
- 한미약품, 항암 혁신신약 ‘HM16390’ 美 1상 IND 신청
- 유한양행, 원데이 기업투어 진행
- 유한양행, 복합건기식 ‘유한 포텐업’ 출시
- 동아ST, 뇌·말초순환 개선제 ‘타나민’ 런칭 심포지엄 개최
- 이노엔‧아이엠바이오‧와이바이오, 공동개발 신약 美 기술이전
- 국산 비만약 개발 위해 팔 걷은 政, “규제개선 노력”
- 美 당뇨병학회서 연구 성과 뽐낸 ‘K-비만신약’
- 유한양행, 지속가능경영보고서 ‘Progress and Integrity’ 발간
- 유한양행, 고셔병 치료제 ‘YH35995’ 1상 IND 승인
- 동아ST, 건선성 관절염 치료제 ‘오테리아정’ 출시
- HK이노엔-해양수산부, ‘비대면 섬 닥터’ 업무협약 체결
- 동아ST, AAIC서 ‘DA-7503’ 비임상 결과 발표
- 동아ST, 뉴로보‧이뮤노포지와 1개월 지속 비만치료제 연구
- 펩트론, 유상증자 및 최대주주 블록딜 예고에 주가 ‘하한가’
- ‘비만약 테마주’ 펩트론, 신뢰 잃었나…연일 주가 급락
- 일동제약, ‘아로나민’ 새 TV 광고 온에어
- 한미약품, 11월 미국비만학회서 신개념 비만 신약 첫 공개
- “마침내”…비만치료제 ‘위고비’ 내달 국내 상륙
- 디앤디파마텍 中파트너사, 비만치료제 1상 IND 제출
- ‘위고비’ 자살 충동 부작용 우려에 노보노디스크 “명확한 증거 없다”
- 펩트론, 일라이 릴리와 손잡고 펩타이드 약물 연구
- 당뇨병학회 “GLP-1 제제 미용 목적 오남용 안돼”…대응 예고
- “위고비, 亞 복부비만에 효과…내장지방 면적 40%↓”
- 대원제약, GC녹십자와 ‘신바로‘ 자산양수도 계약
- 광동제약, ‘광동과천타워’로 본사 이전
- 디앤디파마텍, 경구용 GLP-1 비만신약 'DD02S' 북미 임상 개시
- 디앤디파마텍, R&D 우수기업 산자부 장관 표창
- JPM서 날개 단 디앤디파마텍, “멧세라 나스닥 효과에 관심 쇄도”
- ‘GMP 공장’ 필요한 인벤티지랩, 큐라티스 경영권 인수 추진
- 인벤티지랩, 美당뇨병학회서 차세대 비만 치료 기술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