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주 의원 "여당은 표 계산 그만하라" 비판
"간무협 회장, 내년 총선 목적으로 정치 투쟁"
간호법과 '의료인 면허취소법'(의료법 개정안) 수정안을 내민 국민의힘에 더불어민주당 김성주 의원이 "자신들이 서명발의한 법안에 자신들이 반대하고 있다"고 직격했다. 여당이 내년 총선을 의식해 "표 계산"만 하고 '야당 단독법'이라고만 할 뿐 민주당에 협의 요청은 단 한 번도 하지 않았다고도 했다.
민주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인 김 의원은 20일 오전 당 정책조정회의에서 간호법과 의료법 개정안이 '민주당 단독법'이라는 주장을 반박했다.
김 의원은 "간호법은 국민의힘 서정숙 의원과 최연숙 의원, 우리 당 김민석 의원 3명이 대표 발의했다. 의원 115명이 공동발의에 참여했다. 민주당 단독법이 아니다. 자신들이 서명발의한 법안에 자신들이 반대하는 국민의힘 태도가 도저히 이해되지 않는다"고 했다.
김 의원은 "여당은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 언제까지 직역단체 갈등 뒤에 숨어서 표 계산만 할 건가"라며 "여야 합의로 통과한 법안에 대해 의사단체가 반대한다고 회피하면 국민을 위한 입법기관 역할을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지금까지 민주당에 간호법과 의료법 관련 협의 요청을 단 한 차례도 하지 않았다. 국민의힘은 여야 합의로 마련한 법안을 반대하는 이유가 무엇이고 앞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입장을 명백히 밝히라"고 요구했다.
대한간호조무사협회가 대한의사협회와 공조해 간호법 제정에 반대할 이유가 없다면서 간무협 곽지연 회장이 정치적 이해 때문에 반대하고 있다고도 했다(관련 기사: 간호법 공방에서 관심 커지는 간무협 회장 정치 행보?).
김 의원은 "법정단체 인정은 제정 간호법에 이미 담겼다. 학력 인정은 추가 입법으로 보완할 수 있다. 2년제 간호조무과 신설은 교육부 소관이다. 더구나 전문계고와 간호학원은 이를 반대한다. 간무협 요구를 받아들이면 더 큰 갈등이 생긴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간무협 회장은 지난 2020년 총선에서 미래통합당(국민의힘) 비례대표를 신청했다. 내년 총선에서 여당 비례대표를 받기 위해 정치 투쟁을 하는 것이 아닌가 의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했다.
전문직 간 형평을 위해 여야 합의로 마련한 면허취소법을 당정 중재안대로 고치면 형평성을 해소할 수 없다고 했다.
김 의원은 "다른 전문직에 비해 의료인은 보건의료관련법으로만 면허 제한을 받으니 그 형평을 다른 전문직과 맞추기 위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오랜 토론 끝에 여야가 의료법 개정안에 합의했다"면서 "정부와 여당이 제안한 중재안은 다른 전문직과 형평성 문제가 생긴다. 의사라는 이유로 예외를 둔다면 의사가 어떤 공익적 역할을 하는지 제시해야 국민도 납득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 간호법 중재안 합의 위해 동분서주하는 정부-여당
- 국민의힘 "마지막까지 간호법 ‘합의‧조정’ 위해 노력"
- 곽지연 회장 "정치적 발판으로 간호법 이용? 심각한 명예훼손"
- "전문대 간호조무과 신설하면 간호학원·직업계고 존폐 위기"
- 복지부장관 만나도 '요지부동' 간협 "간호법 원안 통과"
- 간호법 공방에서 관심 커지는 간무협 회장 정치 행보?
- 다시 거리로 나온 보건의료인들 "대화 않는 간협, 총파업 불러"
- 2주 미뤄진 간호법·면허취소법 본회의 상정…여야 합의안 나올까
- 간호법 본회의 통과 불발, 민주당 통과 의지 높였다?
- 간호법도 상정 불발…면허취소법과 함께 다음 본회의로
- 민주당 '명분 쌓기' 간담회에 반발심 더 커져…총파업 가나
- 당정 간호법 중재안에 들끓는 간호계 "합의 종용 말라"
- “간호법 중재안 수용하라” 간호조무사들, 25일 1차 파업한다
- 간호법 원안 처리 촉구하는 간호계 "중재안은 졸속"
- 간무협 "미용사·조리사도 전문대 양성, 왜 간무사만 안되나"
- 연가투쟁 간무사 1500명 "학력 제한 간호법, 한국판 카스트"
- 간호법 처리 임박에 "무기한 단식, 총파업" 강력 투쟁 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