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 응급환자 1만명당 사망자 28.5→35.2명
“政, 배후진료 가능하도록 현실적 대안 마련해야”
의대 증원 사태로 의료공백이 발생하기 시작한 올해 상반기 응급실을 찾은 환자는 줄었지만 사망자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증 응급환자 사망이 크게 증가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윤 의원은 국립중앙의료원이 제출한 응급실 환자 내원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응급의료기관은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지난 2월부터 7월까지 응급실을 찾은 환자는 342만877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9% (411만5,967명)감소했다.
그러나 사망자는 늘었다. 지난 2월부터 7월까지 응급환자 1,000명당 사망자는 6.6명으로 전년 동기 5.7명보다 0.9명 증가했다.
권역응급의료센터 사망이 가장 크게 늘어 지난해에는 응급환자 1,000명당 6.4명이 사망했지만 올해는 8.5명으로 2.1명 증가했다. 같은 기간 지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기관 역시 응급환자 1,000명당 사망자가 각각 1.2명, 0.3명 늘었다.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기관에서 사망한 중증 환자는 줄었지만 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 사망한 중증 응급환자는 지난해 77.6명에서 78.0명으로 1.6명 늘었다.
응급실 내원 당시 심정지 상태였던 응급환자 1만명당 사망자는 지난해 28.5명에서 올해 35.2명으로 6.7명 늘었다.
내원 시 생존상태였지만 사망한 사례는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가장 많이 증가했다.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지난해 20.7명에서 올해 22.8명으로 2.2명 증가했고, 지역응급의료센터는 10.1명에서 10.8명으로 0.7명 늘었다.
치료대상이 되지 않는 DOA(병원 도착 전 사망)인 경우도 17.9명에서 20.8명으로 2.9명 증가했다.
응급환자 1,000명당 전원환자는 지난해 15.6명에서 올해 16.5명으로 0.9명 늘었다. 중증 전원환자는 같은 기간 56.9명에서 57.8명으로 0.9명 증가했다.
응급환자 1,000명당 전원환자는 권역응급의료센터가 지난해 14.5명에서 19.7명으로 5.2명 증가했다. 특히 중증 전원환자는 15.5명에서 16.1명으로 0.6명 늘었다. 특히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중증환자 1,000명당 전원환자는 35.8명에서 42.9명으로 7.2명 증가했다.
김 의원은 “응급의료기관 인력 부족과 배후진료 차질 문제는 의료공백 이전부터 응급의료체계가 직면한 위기였던 만큼 의대 증원으로 야기된 의료공백 장기화 속에서 응급의료 대책은 최우선해 마련됐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현 사태를 예측하지도, 실효적인 대책을 마련하지도 못한 정부는 무능과 무책임을 사과하고 응급실 파행을 최소화하기 위해 의료진 집중 지원과 배후진료 완료 등 현실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응급실 10곳 중 7곳 의료공백 발생…전공의 신속 복귀해야"
- ”의료대란 해결 마지막 기회…2025년 의대 정원 논의해야“
- 국방부 “응급실 근무 거부 군의관 징계 검토 안해…10여명 대기 중”
- "의료 위기 추석 끝나도 계속될 것" 醫, 증원 백지화 대국민 호소
- 응급실 의사들 입모아 “심각한 위기…추석, 환자 못 받을 수도"
- “6개월 동안 선배 의사들 뭐했나” “돌아가지 못할까 두렵다” 원성
- 민주당 "醫 없는 협의체 무슨 의미…대통령 사과로 대화 물꼬 터야"
- 政, 응급의료센터 의사 160명‧간호사 240명 채용 지원
- 政, "응급실 사망률 증가? 경증환자 이용감소 영향"
- 지역응급의료기관 경증환자 사망 40% 증가 “의료대란 원인”
- 응급실 의사 42% 감소, 7곳 부분 폐쇄 위기…“더는 버티기 어렵다”
- 정부 "관리 가능"하다는데 병원 못 찾는 응급환자들…"책임 회피만"
- 국립대병원 응급실 가동률 50%도 못 미쳐…“의료대란 심각”
- 응급실 정당한 진료 거부 사유 政지침에 환자단체 "혼란 가중"
- 비상진료체계로 사망자 증가? 政, "사실 아냐"
- 김윤 “중증응급환자 우선수용원칙 必”…응급의료법 개정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