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만족…본인부담금 있으면 "이용 안 한다" 87%
의료이용·의료비 억제 효과…실제 치료까진 한계
"의료·돌봄 연계 강화하고 치료·재활까지 통합해야"
커뮤니티케어를 통한 방문진료서비스가 불필요한 의료이용을 줄이면서 의료기관 방문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에 앞으로 방문진료 단계에서 실제 치료와 재활까지 이어지도록 지역사회 내 민간과 공공의료기관 간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건강보험연구원 통합돌봄연구센터 최재우 부연구위원은 최근 한국사회적의료기관연합회(사의련) 세미나를 통해 '통합돌봄 추진을 위한 방문의료 모델 개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통합돌봄 방문진료 시범사업은 지난 2019년 6월 시작해 2022년 12월 종료됐다. 오는 8월부터 2차 시범사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지난 시범사업 성과를 평가하고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2차 시범사업에 적용할 방문진료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방문진료사업에 참여한 6개 지역에서 지난 2019년 8월부터 2022년 1월까지 방문진료서비스를 최소 1회 이상 이용한 339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했다.
75세 이상 후기 고령자가 84.1%였다. 90세 이상은 10.9%였다. 대상자 75.2%가 여성이었고 절반이 넘는 66.1%가 혼자 살고 있었다. 주 돌봄자가 없는 경우가 79.1%였다. 설문 대상자 97.4%가 한 달에 100만원 미만 수입으로 생활했다. 50만원 미만인 경우가 53.4%였다.
방문진료 시간 30분 이하…57% "방문진료의사가 주치의는 아니다"
방문진료서비스 이용시간은 30분 이하가 74.9%로 가장 많았다. 30분에서 1시간 이내가 22.7%였다. 방문진료 총 이용횟수가 2회 이하인 경우가 67.6%였다. 이중 단 한 번만 받은 경우가 29.5%였다.
56.6%는 방문진료 의사를 주치의로 여기지 않았다. '의사가 자주 오지 않아서(43%)'가 가장 큰 이유였다. 방문진료의사 외에 정기적으로 진료를 받는 의료기관이 따로 있기 때문이라는 답도 37%였다. 이외에도 환자들은 '방문진료로 받는 진료·처방이 간단한 수준에 그치거나(9.5%)' '진료 시간이 짧아서(5%)' 주치의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62% 서비스 만족…본인부담금 있으면 "이용 안 한다" 87%
방문진료서비스를 이용해본 환자들은 대체로 만족했고 다시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전반적인 만족도를 묻자 61.9%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18.0%는 매우 만족한다고 답했다. 78.8%가 방문진료가 건강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고 80.8%가 필요한 시점에 방문진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환자들은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높이 샀다. 47%가 거동이 불편한 상황에서 진료받을 수 있는 점을 장점으로 꼽았다. 직접 방문하는 것보다 집에서 진료받는 게 더 편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은 24.8%였다. 같은 맥락에서 병원을 찾지 않아도 진료 가능해서 더 선호한다는 답이 10.9%였다.
다시 방문진료서비스를 이용하겠느냐는 물음에 67%가 그럴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중 18.3%는 '매우 그렇다'고 했다. 이용할 의향이 별로 없다는 답은 28.9%였다. '전혀 없다'는 4.1%였다.
그러나 본인부담금이 발생할 경우 86.5%가 방문진료서비스를 다시 이용하지 않겠다고 했다. 60.2%가 이용 의향이 '전혀 없다'고 답했다. 본인부담금이 있더라도 다시 이용하겠다는 답은 13.6%에 그쳤다.
입원률·시설입소율 감소로 의료비 억제 효과…실제 치료까진 한계
방문진료서비스가 실제로 불필요한 의료이용을 억제하고 의료비 지출을 막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진료 이용자는 대조군보다 입원률은 23%, 장기요양시설 입소율은 88% 감소했다. 입원하거나 장기요양시설에 머물지 않고 집에서 생활하는 기간이 연평균 7일 늘었다. 이에 따라 의료비용도 대조군보다 154만8,000원 적었다.
다만 예방가능입원율이나 응급의료서비스 이용률, 사망률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에 대해 최 부연구위원은 "방문의료서비스에서 환자에게 필요한 처치와 약물 관리 등이 더 적극적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방문진료 시범사업에 참여한 의료진 등을 대상으로 진행한 면담에서도 "의사가 진단과 처방을 내려도 의료적 처치를 수행할 간호사나 작업(물리)치료사가 없어 실제 치료·간호·재활 서비스까지 이어지지 않는다는 의견이 다수"라면서 "서비스가 제한적이고 단편적으로 이뤄지면서 환자들도 방문진료 의사가 아니라 기존에 이용하던 의료기관에서 실질적인 치료와 만성질환관리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졌다"고 했다.
의료·돌봄 연계 강화하고 진찰부터 치료·재활까지 통합 제공
이에 따라 오는 7월 시행 예정인 2차 시범사범은 의료와 돌봄 연계를 강화하고 방문의료 활성화에 방점을 뒀다. 공모를 통해 12개 지자체 시범사업을 거쳐 전국화를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첫 번째 모델은 통합돌봄창구와 의료기관 연계다. 환자가 통합돌봄창구를 통해 방문진료서비스를 신청하면 창구에서 의료기관에 의뢰해 실제 방문진료 대상자인지 평가하고 대상자로 등록해 서비스를 진행하는 모델이다. 사전 평가 없이 방문진료를 실시하면서 경증 환자 대상 일회성 진료에 그친다는 지적을 보완했다. 또한 이용자가 지정된 의료기관에 등록해 방문진료서비스를 이용하므로 주치의 성격도 강화된다.
두 번째 모델은 공공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한 지역거점재택의료지원센터 역할을 강조했다. 센터에 의사와 간호사, 치료사가 상주해 진찰부터 실제 치료와 재활까지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데 주안점을 뒀다. 민간 의료기관에 인력을 지원하는 공조 기능도 강조했다.
최 부연구위원은 "두 모델 모두 의원급 의료기관과 공공의료기관을 서비스 제공 주체로 설정했다. 따라서 현재 의원급 의료기관만 주는 방문진료 수가를 확대해야 한다. 현재 30%선에서 설정된 환자 본인부담금 문제도 풀어야 한다"고 했다.
최 부연구위원은 "방문의료를 시작하는 의료기관과 의료진을 위한 교육센터 논의도 필요하다"면서 "개인 역량에 의지하지 않고 지역 내에서 운영과 교육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가지고 의료기관과 국가 돌봄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시범사업에 28곳 참여
- "노인 주치의제도 도입 위해 지불제도 개편 등 선행돼야"
-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에 지역별 상황 등 추가
- 국내 최초 재택의료학회가 '비즈니스' 강조하는 이유
- 만년 시범사업 중인 재택의료…'미친 의사'만 하지 않으려면?
- 미국 1위 재택의료 기업이 척박한 한국 시장 도전한 이유
- 기대만큼 효과 입증한 방문진료…입원 줄고 의료비도 감소
- "돌봄과 방문의료, 정권 바뀌었다고 중단할 문제 아니다"
- '병원 밖 병원'에서 반찬 배달하고 경로당 돌며 찾은 환자들
- "통합돌봄, '의사가 하겠단' 말뿐이어선 안 돼"
- '병원 빼고' 가는 지역사회 통합돌봄 이대로 잘 될까
- 내일 첫 방문진료 앞둔 의사 위해…'어벤저스' 뭉친다
- 일본 재택의료는 어떻게 '쇠락하는 사회'를 지탱하고 있나
- 혼자 어려운 방문진료, 손 잡고 하자…민간 재택의료센터 협력 모델 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