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노조 유청준 위원장, 복지위 국감서 어려움 호소
“정부 모르지 않을 것…실질적인 관리감독 해달라”
정부가 전공의 근무환경 개선 논의를 지속하고 있지만 현장 변화가 없어 현실성 있는 관리감독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국전공의노동조합 유청준 위원장은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전공의 수련환경 문제를 지적하며 이같이 밝혔다.
유 위원장은 “병원은 여전히 전공의를 값싼 노동력으로 소모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은 결국 환자 안전을 위협한다. 이 외 의료사고 법적 부담 등도 전공의들이 바이탈과를 기피하는 중요 이유”라며 “이같은 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의 대체인력 확보, 전공의 1인당 환자 수 제한 등의 논의가 안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전공의 수련을 논의하는 수련환경평가위원회를 대한병원협회에 위탁하고 있어 객관적 관리감독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병원들도 전공의법을 쉽게 위반하며 개선 여지도 없다. 이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노조를 설립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 위원장은 “현재 복지부가 전공의 근무시간 72시간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고 병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했지만, 참여 병원 중 시범사업 이행률이 60%도 안된다”며 “결국 전공의를 대체하는 입원전담전문의 등 대체인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전공의 근무환경 개선 논의는 많지만 무색한 상황”이라며 “수련병원은 이미 (의정사태) 이전으로 돌아가고 있다. 정부도 모르지 않을 것인데 방치하고 있다. 정부가 (제대로 된 관리감독으로) 전공의를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 정은경 장관은 “(전공의 근무시간 72시간) 시범사업을 평가하고 모니터링해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이 외 수련협의체와 군입대 전공의 전역 후 사직 전 기관 복귀 등에 대해 논의해 조만간 결정하겠다. 일정을 못박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법이 허락한 '과로'…전공의 4명 중 1명 주 80시간 넘게 일해
- 의정 갈등 이후…전공의 사로잡을 대전협 회장 후보 공약은?
- 환호와 우려 사이 '전공의노조'…"이번엔 다르다"
- 복지위 국감 증인·참고인 누가 나오나…전공의 대표 2명 포함[종합]
- 매주 하루 ‘전공의 없는 날’…캐나다 수련병원이 주는 메시지
- "의약품 공급 문제 책임 전가 말고 의사 범죄자 취급 멈추라"
- 의정갈등에 흉부외과 ‘휘청’…남은 전공의 68명뿐
- 전공의 ‘0명’ 성남시의료원, 수련환경 지원금 받아
- 수평위 의협 추천 위원 0→1명으로 복원…복지위, 전공의법 수정 의결
- 빗발치는 전공의법 '재개정' 요구…醫 "수평위 전공의 과반 약속 지켜야"
- 아직도 전공의 24% '주 80시간 초과 근무'…104시간 일하기도
- 교수 업무의 11%만 전공의 수련에 쓰는 현실…“구조적 제약”
- ‘先시험 後수련’이 불러올 파장…수련이사들 “수련체계 무너진다” 반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