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정책서 한의과 배제 지적…의료대란 역할 보상 강조
유창길 부회장 “환산지수 외 진료비 상승분 기대할 수 없어”
한의계가 지속되는 경영난을 호소하며 이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은 환산지수 인상이 유일하다고 했다. 의료대란 상황에서도 일차의료 영역에서 묵묵히 역할을 해 온 부분을 2026년도 요양급여비용(수가)협상에 반영해 달라고 했다.
대한한의사협회 수가협상단장인 유창길 부회장은 22일 공단 영등포 남부지사에서 열린 국민건강보험공단과 2차 수가협상 직후 기자들과 만나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한의 의료기관들을 당장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은 환산지수 인상뿐이라고 강조했다”고 말했다.
유 부회장은 “필수의료에서 한의과를 배제하다 보니 (한방) 진료비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고 경영 수지도 나빠지고 있다”며 “10년간 누적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19.2%인데 (한방은) 10년간 고작 8% 증가한 상황이라 오히려 마이너스 상태인 어려운 상황을 전했다”고 했다.
유 부회장은 “의료취약지에서 만성 고령층, 거동이 어려운 이들에 대한 일차진료, 재활진료를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고 의료대란 때도 묵묵히 그 역할을 수행했다”며 “그런 부분에 대한 보상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공단에) 말했다”고도 했다.
의료 정책에서 한방이 배제되면서 발생하고 있는 의과와의 형평성 문제도 지적했다.
유 부회장은 “(의료 정책) 시범사업이나 공공정책수가에서 배제 되는 부분이 많다보니 환산지수 외에는 진료비 상승분을 기대할 수 없다. 보장성 확대도 어렵다. 거의 전무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ICT나 텐스 등 물리치료 기기를 동일한 치료 목적으로 동일한 치료 효과를 내고 있지만 의과에서는 급여로 보장 받고 있는 반면 우리는 보장 받지 못하고 있다”며 “의료 수가체계 형평성 확보를 위한 동일한 핵심 가치에는 같은 보장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 한의협 “의료대란서 1차의료 기여…수가협상에 반영해야”
- "醫-韓, 한방 난임 치료 논란 공개 토론하자"
- 醫 공개토론 제안에 韓 "대선후보 포함해서" 판 키워 맞불
- 공세로 전환한 의협…"한의사들 의과 진료하려면 면허부터 따라"
- 한의협, 치매 진단서 발급권 보장 요구…"한의사도 의사 수준 역량 갖춰"
- 한의협, 한방 실손보험 확대 요구에 보험업계 “과학적 근거 부족”
- 韓 “실손보험 개편 성공하려면 '한방 비급여' 보장 포함해야”
- 약사회 “약국 경영 정상화 위해 파격적 밴드 결정 필요”
- 2차 수가협상 마친 병협 “코로나보다 어렵다” 읍소
- 의사·약사·치과의사·한의사 모두 “추가소요재정 대폭 확대 필요”
- [꽉찬생각] 수가협상 언제까지 이대로…‘방식’ 바꿔야
- 올해 수가협상 전 유형 타결…의협 1.7% 병협 2.0% 인상
- 내년도 수가 평균 1.93% 인상…1조3433억원 추가 투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