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과 2차 수가협상서 약국 타격 우려
오인석 단장 “1조5천억원 이상으로 결정해야”

대한약사회 수가협상단은 23일 오후 국민건강보험공단 영등포 남부지사에서 열린 공단과의 2차 요양급여비용(수가)협상 후 기자들과 만나 파격적인 규모의 추가소요재정(밴드) 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왼쪽부터) 이광민 정책홍보 부회장, 오인석 부회장(협상단장), 손윤아 보험이사, 김희진 보험이사(©청년의사).
대한약사회 수가협상단은 23일 오후 국민건강보험공단 영등포 남부지사에서 열린 공단과의 2차 요양급여비용(수가)협상 후 기자들과 만나 파격적인 규모의 추가소요재정(밴드) 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왼쪽부터) 이광민 정책홍보 부회장, 오인석 부회장(협상단장), 손윤아 보험이사, 김희진 보험이사(©청년의사).

대한약사회가 어려운 약국 경영 정상화를 위해 파격적인 규모의 추가소요재정(밴드) 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인석 협상단장은 사견을 전제로 1조 5,000억원 이상이 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약사회 수가협상단장인 오인석 부회장은 23일 오후 국민건강보험공단 영등포 남부지사에서 열린 공단과의 2차 요양급여비용(수가)협상 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오 부회장은 “협상에서 약국 경영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들에 대해 구체적 사례들을 중심으로 충실히 설명했다”며 “특히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장기 처방이 약국은 물론 (건보) 재정과 환자 건강에 독이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약국은 물러설 곳이 없는 벼랑 끝이다. 파격적인 수가 인상으로 약국 경영을 활성화시키고 국민건강을 보장해야 하며, 이를 위해 정부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올해는 밴드에서 비중이 큰 병원 유형의 행위료 증가율이 둔화된 상태라 다른 유형 협상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아주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충분한 밴드가 확보되지 않으면 행위료 비중이 작은 약국 유형은 상대적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오 부회장은 사견을 전제로 “개인적인 계산으로는 (올해 밴드 규모가) 1조 5,000억원 이상은 돼야 공급자들이 내년도 경영을 해 나가는 데 안정적인 상황이 될 것”이라며 “밴드가 예년과 비슷하게 유지돼서는 어려움을 타개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