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 포함 한의협회장, 의협회장 모여 즉각 개최하자"
한의약정책의 과학적 근거 등에 대해 토론하자는 대한의사협회의 제안에 대한한의사협회가 의사 인력 부족으로 인한 지역·필수의료 붕괴 문제를 주제로 대선후보까지 참여시켜 토론하자고 역제안했다.
의협 한방대책특별위원회 박상호 위원은 지난 8일 그간 논란이 됐던 ▲한방 난임지원사업 효과성과 과학적 근거 ▲한의약 처방에서 중금속 약재 안전성 ▲한의대와 의대 교육과정 비교 ▲한방 진단서 법적 효력과 공신력 등 한의약정책에 대한 과학적 근거와 법적 타당성에 대해 “제대로 따져보자”며 공개 토론회를 제안다.
그러자 한의협은 12일 “(의협이) 의료계에 대한 대국민 신뢰와 이미지가 실추되고 있음에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있다는 내부 비난을 한의사를 적으로 돌려 잠재우려는 속보이는 꼼수에 헛웃음만 나온다”고 맞받았다.
한의협은 의협을 ‘양의사협회’이라고 지칭하기도 했다. 이들은 “양의협이 지적한 난임 지원 사업은 효과성이 입증돼 많은 지자체들이 지원하고 있다”며 “의약품용 한약재 역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엄격한 품질관리를 거쳐 한의 의료기관에 공급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라고 했다.
한의협은 “초음파와 뇌파계, 엑스레이(X-ray) 등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대해서도 사법부의 준엄한 판결이 있었고 이후 행정적인 절차는 한의계와 정부 부처가 협의할 사안”이라고도 했다.
한의협은 “양의계가 최우선으로 해야 할 일은 내부 비난 여론을 돌리기 위한 내부 정치 꼼수가 아니라 자신들이 외면하고 있는 필수의료 붕괴와 턱없이 부족한 공중보건의사 문제, 의대 정원 증원 불발로 파생될 의사 부족과 진료공백 등 실질적인 사안들”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한의협은 ▲의사 인력 절벽 ▲공중보건의사 부족으로 인한 농어촌지역 의료 붕괴 ▲의사들의 지역의료 현장 기피 등 시급한 보건의료 현안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대선 후보들과 한의협회장, 의협회장 함께하는 끝장토론을 제안했다.
한의협은 “국민 건강과 생명이 직결된 사안인 만큼 각당 (대선) 후보들과 한의협회장, 의협회장이 함께 지속가능한 보건의료체계를 만들기 위해 이같은 사안을 논의하기 가장 좋은 시점”이라며 “의협이 의료인 단체로서 일말의 양심이 남아있다면 토론회를 즉각 개최하자”고 했다.
관련기사
- 엑스레이 안전관리책임자 ‘한의사’ 포함 놓고 신중한 복지부
- 한의협, 치매 진단서 발급권 보장 요구…"한의사도 의사 수준 역량 갖춰"
- 민주당 의원들 “한방 비급여 실손보험 보장 확대 필요”
- 한의협, 한방 실손보험 확대 요구에 보험업계 “과학적 근거 부족”
- “법으로 한의사 엑스레이 허용? 위험천만한 일"
- 대선기획단 꾸린 한의협 “한의약 정책 공약화 집중”
- 韓, 정부 의대 모집인원 ‘동결’ 틈타 한의사 활용 주장
- "醫-韓, 한방 난임 치료 논란 공개 토론하자"
- 한의협 “의료대란서 1차의료 기여…수가협상에 반영해야”
- 한의약 정책 확대 나선 韓…국민의힘과 정책협약 체결
- 응급구조사에 심장 초음파 촬영시킨 심장내과 전문의들 '면허 정지'
- 지역사회 돌봄 영역 확대 나선 한의계…민주당과 정책 협약
- 한의협 “심각한 경영난…타개책은 환산지수 인상뿐”
- 한의협 “이재명 정부, 한의사 의료기기 활용 정책 고려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