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선대위 사회복지위-한의협, 정책협약
영유아 시설 한의사 주치의 지정제 등 제안
한의계가 돌봄 영역에서 한의약 역할 확대 방안을 더불어민주당 대선 공약에 포함시키기 위해 정책 협약에 나섰다.
대한한의사협회는 22일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사회복지위원회와 노인과 장애인, 영유아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협약을 체결하고 지역사회 돌봄 영역에서 한의약 역할 확대를 위해 상호 노력하기로 했다.
협약에 따라 노년기 삶의 질 향상과 노인 의료의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해 한의사 주치의 의료서비스 제도와 의료·돌봄에서 한의사가 직접 찾아가는 서비스를 도입해 국가 의료지원 체계를 강화에 협력키로 했다.
장애인들이 국가 정책 안에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장애인 주치의제도에 한의사가 참여하도록 장애인의 의료선택권 확보에 노력하겠다고 했다. 또 영유아 시설 한의사 주치의 지정제 도입을 통해 일상적 건강관리와 생활환경 질환에 적극 대처하기로 했다.
서영석 사회복지위원장은 “의료·돌봄이 필요한 국민 모두가 소외되지 않도록 한의약이 공공성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번 협약이 국가 의료돌봄정책을 혁신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의협 정유옹 수석부회장은 “노인, 장애인, 영유아 등 의료취약계층에 대한 의료·돌봄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높다”면서 “한의사가 지역사회 의료 돌봄 현장에 적극 참여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의료-돌봄 지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부천시한의사회 김범석 회장도 “현장을 방문할 때마다 의료기관을 찾지 못하는 환자들의 현실적인 어려움에 안타깝다”며 “의료·돌봄이 꼭 필요한 노인, 장애인 등 환자를 위해서는 의료·돌봄 제도의 획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한편, 이날 한의협 임원진과 민주당 선대위 사회복지위는 협약식에 앞서 부천시 송내동에 있는 재택의료센터 방문 진료현장을 함께 방문해 현장 목소리를 청취하고, 현행 보건의료체계 보완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