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 “정책적 합의 이뤄지면 교육 시스템 마련”
전공의 복귀가 더디기만 한 상황에서 정부가 인력부족 대안으로 진료지원인력(PA)과 협업 필요성을 언급했다.
보건복지부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은 지난 25일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5회 중환자의학회 학술대회(KSCCM-ACCC 2025) 정책세션에서 “전공의 수련체계가 상당히 제약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현실적인 대안은 PA 간호사들과 같이 협업해 일하는 체계 밖에 없지 않나라는 생각”이라며 “이를 위한 (PA 간호사) 교육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복지부는 PA 업무의 세부적 기준과 내용 등이 구체적으로 정해지는 대로 교육 시스템 등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간호사의 진료지원업무 수행에 관한 규칙’은 관련 단체와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토대로 간호법 하위법령안을 마련 중이다.
정 공공보건정책관은 “PA 간호사 업무범위를 정하고 실제 교육기관은 어떻게 할 것인지도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며 “다만 일부 수술이나 시술 등에 대해 의사 또는 간호사, 다른 의료기사직 간 쟁점이 있어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같은 체계들을 빠른 시일 내 정립하고 정책적 합의가 이뤄지는 대로 (교육) 시스템도 마련하겠다”고 했다.
김은영 기자
key@docdocdoc.co.kr
관련기사
- ‘전공의 없는’ 수련병원들 PA에 임금격차까지 과제 산적
- 중증 치료 역량 강화 나선 한양대병원…"PA로 뉴노멀"
- PA 확대, 전공의 대체인가 수련 내실화 기회인가
- PA로 전공의 공백 메꾼 병원들에 "수련병원 자격 없다" 비판 나와
- “PA 간호사 이미 늘렸는데”…전공의 복귀가 고민인 병원들
- PA 간호사 교육 두고 '의료계 VS 간호계' 주도권 싸움 시작하나
- 간호법 하위법령 PA 업무 범위 두고 간호계-의료계 갈등
- 政, 진료지원 업무범위 뺀 ‘간호법 하위법령’ 입법예고
- 협력·타협 위해 모인 2030 보건의료인, 정작 관심사는?
- PA 제도화 추진이 부른 간호사 이탈…“줄었던 사직 늘었다”
- 진료지원업무 교육 주체 놓고 '의사 vs 간호사' 샅바싸움?
- 간협, 간호사 진료지원업무 교육 맡기라며 거리로
- "간호계는 간호보조인력 단체가 교육 총괄하겠다면 수용하겠나"
- 강북삼성병원, PA 교육…협력형 역량 강화
- "교수라면서 '전공의 없어도 PA 있으니 상관없다' 하느냐" 정면 비판
- 비고시 ‘의·약사’ 출신 복지부 실장, 이재명 정부선 가능?
- [기획] 'PA와 공존' 앞둔 전공의들…홀로서기 가능할까
- 전공의 복귀 후 고민 깊은 수련 현장…"전문의·PA 팀제가 돌파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