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 “정책적 합의 이뤄지면 교육 시스템 마련”

보건복지부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은 전공의 수련체계 붕괴로 인력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진료지원인력(PA)과 협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청년의사).
보건복지부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은 전공의 수련체계 붕괴로 인력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진료지원인력(PA)과 협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청년의사).

전공의 복귀가 더디기만 한 상황에서 정부가 인력부족 대안으로 진료지원인력(PA)과 협업 필요성을 언급했다.

보건복지부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은 지난 25일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5회 중환자의학회 학술대회(KSCCM-ACCC 2025) 정책세션에서 “전공의 수련체계가 상당히 제약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현실적인 대안은 PA 간호사들과 같이 협업해 일하는 체계 밖에 없지 않나라는 생각”이라며 “이를 위한 (PA 간호사) 교육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복지부는 PA 업무의 세부적 기준과 내용 등이 구체적으로 정해지는 대로 교육 시스템 등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간호사의 진료지원업무 수행에 관한 규칙’은 관련 단체와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토대로 간호법 하위법령안을 마련 중이다.

정 공공보건정책관은 “PA 간호사 업무범위를 정하고 실제 교육기관은 어떻게 할 것인지도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며 “다만 일부 수술이나 시술 등에 대해 의사 또는 간호사, 다른 의료기사직 간 쟁점이 있어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같은 체계들을 빠른 시일 내 정립하고 정책적 합의가 이뤄지는 대로 (교육) 시스템도 마련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