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병원회, 대학병원장 간담회서 현안 공유
책임지도전문의·전공의 교육평가 등 어려움 토로
의정 갈등으로 전공의들 복귀가 더디기만 한 수련병원장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진료지원인력(PA) 운용 문제를 비롯해 의정 갈등 이후 벌어진 전임 교수와 비전임 교수 간 임금 격차도 해결해야 할 숙제다.
서울시병원회는 지난 23일 대학병원장 간담회를 갖고 대학병원들이 직면한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고도일 회장은 “오랜 의료 사태로 인해 병원들이 경영에 막대한 영향을 받고 있다. 병원장들의 노고가 크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서울 지역 대학병원장들은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의정 갈등으로 인해 발생한 전임 교수와 비전임 교수 간 임금 격차, PA 간호사, 수련환경 변화에 대비한 책임지도전문의 문제와 전공의 교육평가 등 직면한 어려움을 공유했다.
간담회에는 고 회장과 강남세브란스병원장, 이대목동병원장, 고려대구로병원장, 은평성모병원장, 서울성모병원장 등이 참석했다.
김은영 기자
key@docdocdoc.co.kr
관련기사
- PA 업무 담길 간호법 하위법령 논란…“법적 보호 장치 부재”
- PA 확대, 전공의 대체인가 수련 내실화 기회인가
- 분당서울대병원 “전공의 복귀 맞춰 PA 줄여나갈 계획”
- “PA 간호사 이미 늘렸는데”…전공의 복귀가 고민인 병원들
- 중증 치료 역량 강화 나선 한양대병원…"PA로 뉴노멀"
- 60대 교수도 당직, 번아웃 심각…대학병원들 “한계 ”
- 政 "전공의 부족한 상황서 현실적 대안은 PA 간호사와 협업”
- 전공의에 만남 제안한 조규홍 장관 “수련 정책 설명 필요”
- 전공의 복귀 움직임에 머리 맞댄 수련병원장들
- 강북삼성병원, PA 교육…협력형 역량 강화
- "교수라면서 '전공의 없어도 PA 있으니 상관없다' 하느냐" 정면 비판
- 의정 갈등 장기화에 PA도 급증…의사 대신 시술·처방까지
- 담낭 절제술 어려운 고령에 ‘새 치료 옵션’…국내 첫 연구, KGFID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