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25일부터 내달 4일까지 진행
진료지원 업무범위, 단체·전문가 의견수렴
보건복지부가 진료지원 업무범위 관련 내용을 제외한 간호법 하위법령 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복지부는 25일부터 오는 6월 4일까지 간호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제정안을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간호법은 간호인력의 수급 및 전문성 향상과 이를 통한 간호서비스의 질 제고를 통해 국민건강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해 지난 2024년 9월 20일 제정됐다. 이번 시행령 및 시행규칙 제정은 오는 6월 21일 시행이 예정된 간호법의 위임사항을 정하는 것이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기존 의료법에 규정된 간호사 및 전문간호사의 면허와 자격, 간호조무사의 자격, 국가시험, 간호사중앙회 구성 등 관련 사항을 간호법으로 이관했다.
또한 법에 따라 인정된 간호조무사 협회 설립, 정관에 관한 사항, 윤리위원회의 구성·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했다.
이 외 ▲간호사 등을 대상으로 하는 인권침해 예방 교육 관련 사항 ▲연도별 간호정책 시행계획 수립 ▲간호인력 실태조사 ▲간호정책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 등 관련 내용을 담았다.
한편 복지부는 진료지원업무의 세부적 기준과 내용 등을 정하는 ‘간호사의 진료지원업무 수행에 관한 규칙’은 관련 단체 및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토대로 하위법령안을 마련 중인 상황으로, 관련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입법예고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곽성순 기자
kss@docdocdoc.co.kr
관련기사
- PA 업무 담길 간호법 하위법령 논란…“법적 보호 장치 부재”
- 간협 “전담간호사 분류안, 현장 의견 반영한 결과”
- 전담간호사 간협안에 21개 간호단체 반발…“실효성 떨어져”
- "전담간호사 업무 분야 18개로 분류"…'간협 중심' 교육·관리 체계 제안
- 복지부 ‘간호법 하위법령’ 입법예고, 늦어지는 이유는?
- 의협·간무협 등 14개 단체 “간호법으로 면허 범위 침해 당해”
- 이수진 의원 “간호법 하위법령, 국회서 논의해야”
- 간호법 하위법령 PA 업무 범위 두고 간호계-의료계 갈등
- 간호법으로 ‘PA 간호사 업무’ 무한 확장? 복지부에게 물었더니
- 政 "전공의 부족한 상황서 현실적 대안은 PA 간호사와 협업”
- 간호법 기대했던 체외순환사들, 사라질 위기…“심장 수술 멈춘다”
- 간호법 이대로 시행되면 간호사 출신 체외순환사도 불법 위기
- “심장 수술에 평생을 바쳤는데”…법 밖으로 밀려나는 체외순환사들
- 협력·타협 위해 모인 2030 보건의료인, 정작 관심사는?
- “간협, 진료지원 업무 세분화해 자격증 장사 하나”
- 진료지원업무 교육 주체 놓고 '의사 vs 간호사' 샅바싸움?
- "간호계는 간호보조인력 단체가 교육 총괄하겠다면 수용하겠나"
- “PA 교육 우리가 해야” 간협, 복지부에 전면 투쟁 선언
- 간호법 시행에도 PA 논란 여전…“간호사 업무범위 넘어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