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전공의‧의대생에게 끌려갈 수 없다…원칙대로"
한의협 "신규 의사 배출 절벽 상황 한의사로 해결해야"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의료개혁에 극렬 저항하는 전공의, 의대생들에게 계속 끌려갈 순 없다"며 강경 대응을 요구하고 나섰다(사진출처: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페이스북).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의료개혁에 극렬 저항하는 전공의, 의대생들에게 계속 끌려갈 순 없다"며 강경 대응을 요구하고 나섰다(사진출처: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페이스북).

의대생들에게 학교로 돌아오라는 의대 학장들의 호소가 이어지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의사하기 싫으면 하지 말라”며 의정 갈등 장기화에 정부의 강경 대응 요구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여기에 한의계까지 나서 의대생 미복귀로 인해 발생한 ‘구멍’을 한의사로 메울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19일 페이스북을 통해 “의료 파행, 이제 마무리 지어야 할 때”라며 "현재 의료체계에 필수의료가 내팽개쳐지는 왜곡이 있다. 이를 바로잡으려는 의료개혁에 극렬 저항하는 전공의, 의대생들에게 계속 끌려갈 수는 없다. 어려울 때일수록 원칙대로 가는 게 맞다. 그래야 문제가 해결된다“고 주장했다.

원 전 장관은 “의료계 과반 참여를 보장하는 의료인력수급체계 결정 방식을 거부하는 자들에게 정 의사하기 싫으면 하지 말라고 이제 분명하게 말해 줄 때가 됐다”고 했다. 2027학년도 의대 정원부터 다루는 의료인력수급추계위 설치 법안이 지난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과하자 유감 입장을 밝힌 대한의사협회를 저격한 발언이다.

원 전 장관은 “여전히 대다수 의사들이 묵묵히 환자들을 돌보며 헌신하고 있다”며 ”환자 목숨을 틀어쥐고 선동과 협박 하는 자들에게는 의사 되지 않을 자유를 주고 각자 새로운 인생을 살 기회를 줘야 한다. 이들의 빈자리는 의사 역할 제대로 잘 해보겠다는 새로운 사람들과 다른 의료직역에 있는 분들이 채우면 된다“고 했다.

대한한의사협회는 의대생 대규모 제적 사태가 현실화되는 모습에 신규 의사 배출 절벽 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한의사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정부가 의료계에 더 이상 끌려 다니지 말아야 한다고도 했다.

한의협은 “의대과 전공의, 공중보건의사 사태가 악화일로에 접어들었음에도 정부는 수수방관만 하고 있다”며 “이같은 사태를 대비해 의료인인 한의사를 적극 활용해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켜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주장해 왔다. 이제 정부가 결단을 내려야할 시기가 왔다”고 말했다.

한의협은 ▲한의사가 2년 추가 교육을 받고 국가시험을 합격하면 필수의료 분야 전문의 과정을 거쳐 ‘지역·필수·공공의료한정의사’로 배출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사례를 참고해 한의과 공보의에게 일정 기간 교육 수료 후 일차의료에 필요한 의료행위 허용 ▲한의대 정원을 한시적으로 줄이고 남는 한의대 공간을 의대생 교육 공간으로 활용하는 등의 방안을 제안했다.

한의협은 “의협 산하 의료정책연구소가 보고서를 통해 밝혔듯 한의사는 이미 한의대에서 의대에서 가르치는 내용의 75%를 공부했다”며 “한의사를 활용한다면 훨씬 빠르고 효과적으로 의료현장 투입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정부가 의사 눈치를 보느라 가장 합리적인 방안에 대해 일부러 눈을 감고 있다”고 했다.

이어 “정부는 더 이상 의료계에 끌려가지 말고 가장 합리적인 대체인력인 한의사를 최대한 활용해 국민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 환경 조성에 나서야 한다”며 “지역·필수·공공의료에 최대한 빨리 의료 인력이 투입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도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