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학연 “교수들, 학생 아닌 정책 겨냥해야”
미복귀 제적을 경고하는 의대들이 나오자 학부모들은 “교육을 핑계 삼은 협박”이라고 반발했다. 현재 고려·연대의대는 오는 21일, 가톨릭의대는 24일, 서울의대는 27일까지 의대생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학칙대로 대응하겠다고 입장이다.
전국의대학부모연합은 지난 17일 성명을 통해 의대 학장들의 제적 경고를 “단순한 행정 안내가 아닌, 교육자의 탈을 쓴 협박이자 학생들을 벼랑 끝으로 몰아 놓는 폭력”이라고 했다. “교수는 학생들에게 진정한 어른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가”라고도 했다.
또 “교육자라면 학생들의 고통 앞에 먼저 따뜻한 손을 내미는 사람이 돼야 한다. 그런데 징계와 제적을 학생들에게 마구잡이로 뿌리는 것이 최고 교육자인 교수들이 할 짓인가”라고 비판했다.
전의학연은 현재 수업 미등록 사태를 학생 책임으로 돌릴 게 아니라 정부가 정책 실패를 바로잡도록 요구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의학연은 “이 나라의 교육과 의료가 완전히 망가지지 않기를 바란다면 학생들을 겁박할 것이 아니라 정부를 향해 진짜 어른의 목소리를 내기를 바란다”며 “지금껏 침묵했던 자리에서 일어나 학생이 아니라 잘못된 정책을 향해 목소리를 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사람의 학생이라도 고통 받는 일이 생긴다면 그때는 이 모든 침묵이 분노로 바뀔 것”이라고 했다.
정현우 기자
jhw3407@docdocdoc.co.kr
관련기사
- 의대생 복귀 마지노선 ‘코앞’…제적 후 재입학 가능할까
- 정부·대학 "28일까지" 복귀 압박에 한림원 "의대생 자율 판단"
- 미복귀 의대생 ‘제적’ 거론에 교수들 “교육자 맞나” 성토
- '어르고 달래고' 의대생 복귀 안간힘 쏟는 의대 학장들
- 수급추계위법 통과에 의협 "심각한 흠결 그대로…유감"
- 40개 의대 총장들, 휴학계 반려키로…대규모 제적 후 편입 충원?
- 원희룡 "의사하기 싫으면 하지 말라"…틈새 노리는 한의계
- 정부 “의대생 수업 거부 엄정 대응, 합리적 판단하라”
- 다시 '파업' 꺼내든 의협 "의대생 제적 시 투쟁…모든 수단 고려"
- 의정 갈등에 내부 갈등까지 겹친 의료계…경색 국면 어떻게 풀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