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위 법안소위 통과 직후 심경 밝혀
"의사로서 사명감과 긍지 내려놓겠다"
‘간호법’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하자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은 “의사로서 사명감과 긍지를 내려놓겠다”며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간호법이 의료체계를 왜곡하는 재앙이 될 것이라고도 했다.
박 위원장은 27일 페이스북을 통해 "간호법은 대한민국 의료 체계를 왜곡하는 또 하나의 재앙이 될 것"이라며 “젊은 간호사들이 이 법안(간호법)을 진정으로 환영하는지 의문이다. 국민과 환자에게 이로운 법안인지도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의료행위에 대한 책임은 누가 질지, 교육은 어떻게 할지, 구체적인 계획은 있던가. 결국 몇몇 고위 관료들과 대한간호협회, 병원장들만 노났다”고 했다.
그러면서 “의사로서의 사명감과 긍지를 내려놓겠다. 교도소와 노숙인 진료소, 응급실 등 모두가 기피하던 그곳에서 진료했던 모든 순간을 후회한다”고도 했다. 박 위원장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전공의였다.
간호법을 심의한 여·야 의원들은 물론 진료지원인력(PA) 활용에 ‘침묵한’ 의대 교수들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했다. 간호법은 PA 업무 범위를 규정하고 이들의 의료 행위를 법으로 보호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박 위원장은 “각자도생의 시대는 모두에게 꽤나 혹독할 것 같다”며 “여·야 의원들도 그 책임을 무겁게 마주했으면 한다. 본인들의 편의를 위해 그 왜곡을 자행하고 묵과했던 교수들도 자성하길 바란다”고 했다.
김은영 기자
key@docdocdoc.co.kr
관련기사
- ‘간호법’ 복지위 소위 통과에 의협 “의료 멈출 수밖에”
- 복지위 법안소위 문턱 넘은 '간호법'…본회의까지 일사천리?
- 간호조무사들 “여야는 간호사만 중요한가” 간호법 ‘결사반대’
- 醫 “정부·여당, 간호법→PA 활성화로 전공의 떠나라 부채질”
- 다른 직역으로 번지는 ‘간호법’ 반감…“쟁점 입장 반영 안돼”
- '간호사 업무 시범사업' 경험한 간호사들 "여전히 불안"
- 與野 간호법 공방…여 “야당이 소극적” vs 야 “대통령 거부권이 원인”
- ‘총파업’ 보건의료노조, 간호법 복지위 통과에 “교섭 타결 청신호”
- ‘간호법’ 복지위도 통과…"의료공백 메우기 위한 목적 아냐"
- 의협, 간호법 제정에 ‘간호사 불법행위 피해신고센터’로 대응
- 이재명 “한동훈 의대 증원 유예 제안, 불가피한 대안" 공감
- 법사위도 통과된 ‘간호법’ 최종관문 국회 본회의로
- ‘간호법’ 국회 본회의 통과…이주영·이준석 의원만 반대
- ‘간호법’ 반대 이주영 “직역 다툼 불가피…전문의 배출에도 악영향”
- ‘간호법’ 본회의 통과 후폭풍…“졸속 통과” 반발에 "폐지" 청원까지
- “선배 의사들이 모두 죽어야 산다”…의협 임총에서 나온 ‘자성’
- 대전협 박단 “무능한 임현택 회장, 물러나지 않으면 끌어 내려야”
- 간호법에 엇갈리는 시선…"법적 근거 마련" VS "처우 개선 부족"
- "전공의‧의대생 조직 달라져야 한다…전국구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