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비대위 의대 정원 증원 저지 대표자 확대회의 개최
"어려움 처한 후배 위해 선배가 무엇을 할지 정할 때"
증원 원점 재검토 요구…"반대하는 의사들 겁박 말라"
전공의 의대생을 상대로 연일 압박책을 쏟아내는 정부에 의사 대표자들이 "탄압을 멈추라"고 외쳤다. 의과대학 정원 증원 역시 의료계와 원점부터 재검토하라고 했다.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는 25일 오후 회관에서 의대 정원 증원 저지를 위한 전국 의사 대표자 확대회의를 열었다. 이날 대표자 회의는 전국에서 200명 넘는 회원이 참석했다.
김택우 비대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전공의와 학생은 정부 겁박에 굴하지 않고 본인 의지를 천명했다. 불안하고 위태롭지만 뜻을 품고 가고 있다"며 "이들은 우리 후배이자 동료이자 사랑하는 아들딸이다. 이들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올바른 목소리를 냈을 때, 선배 의사는 어디 있을지 그리고 어떤 목소리를 낼지 정해야 한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의료 정책이 올바르게 가게 하지 않고 겁박에 굴한다면 의료 전문가가 아니다. 교수도 학장도 우리 회원 모두 합심해 의사의 올바른 목소리가 국민에게 전달되도록 최선을 다해 달라"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잘못된 정책의 원점 재검토가 우리 목표다. 그 목표가 이뤄지는 순간까지 저와 비대위와 13만 회원이 같은 마음으로 자발적으로 움직이리라 믿는다"며 "국민 건강을 위해 우리가 (의료 현장에) 빠르게 복귀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정근 회장 직무대행 역시 "우리 의료계는 단 한 명의 회원도 모욕과 협박을 당하도록 바라만 보고 있지 않겠다. 평생 환자를 돕고 살아온 13만 의사에게 닥친 위협과 폭언을 단연코 수용할 수 없다"고 했다.
박성민 대의원회 의장은 "정부가 국민 생명을 볼모로 여론을 등에 업고 의사를 굴복시켜 말 잘 듣는 의료 노예로 만들려 하고 있다"고 했다.
박 의장은 "정부가 진정 전공의가 의료 현장을 벗어나고 의대생이 동맹 휴학에 나선 까닭을 몰라서 면허 정지라는 초법적인 카드를 꺼내고 교육부를 동원해 의대생을 압박하고 있겠느냐"면서 "정말 의료체계에 어떤 일이 생기고 사회적으로 어떤 혼란이 일어날지 예상하지 않고 발표했겠느냐"고 했다.
정부에는 의사 탄압을 멈추라고 했다.
박 의장은 "의사도 국가의 보호를 받아야 할 국민이다. 더 이상 의사를 범죄자 취급하지 말라"며 "정부는 행정 처분, 경찰과 검찰을 동원한 구속 수사, 의료인을 협박하거나 범죄자 취급하는 일을 멈추고 의협을 의료 정책 논의 파트너로 여기라"고 했다.
그러면서 "회원과 의사 대표자는 선배 의사로서 의사의 미래를 책임질 의대생과 전공의를 지키고 미처 만들지 못한 의료 환경을 제대로 만들어 후배에게 물려줘야 한다"며 "우리 미래는 우리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 함께 어려움을 헤쳐 나가자"고 했다.
관련기사
- 국립대 교수들 '조건 없는' 협의 촉구…"전공의 책임 묻지 말길"
- 불길 거센 동맹휴학…“이대로면 내년부터 의사 인력 부족”
- "뛰쳐나간 건 전공의들" VS "본때 보여주겠다는 정부 문제"
- "의대생들 박탈감과 회의감 빠져…현장 목소리 들어 달라"
- "과로로 죽을까 병원 문 닫고 구속될까"…벼랑 끝 필수의료
- 좌절감에 제자들 떠나는데…"정부는 부당한 정책만"
- "2000명 증원 근거 어디도 없다…정부 거짓말 그만하라"
- 비대위 면허정지 처분 이유 '전공의 사직·의대생 휴학' 조장
- "의대 2000명 증원 철회 전에는 대화도 협의도 없다"
- 교수-정부, 의대 증원 협의 성사되나
- 제자 향한 거센 압박에 보호나선 교수들…“중재하겠다”
- [꽉찬생각] “우리들의 의사를 보호하소서”
- "협의하자"는 교수들…醫·政 '2천명 줄다리기' 계속
- 증원 규모 두고 정치권도 입장 갈려…野 500여명 vs 政 2천명
- 아동병원 소청과 전문의 이탈…주말·야간 진료 공백 차질
- "정부·대학, 증원 당사자인 의대생 의견부터 청취하라"
- 政 "진료유지명령, 직업선택 침해 아냐"…법조계 "문제 많아"
- 의협 회장 후보들 의대 증원 논란 '5인5색' 해법
- 경찰청 출석 김택우·박명하 "政 이제라도 대타협하라"
- 김택우·박명하 최종 면허정지 "꺾이지 않겠다…전공의 처분 없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