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제42대 회장선거 후보자합동설명회 개최
의대 증원 모두 반대…타 분야 공조, 협상 불가 등 제시
대한의사협회장 선거에 나선 후보들이 의대 증원에 대해 비슷하지만 다른 해법을 각기 제시했다.
의협은 27일 회관 지하 1층 대강당에서 ‘제42대 의협 회장선거 후보자합동설명회(정견발표회-중앙)’를 개최했다.
이날 참석한 후보들은 ‘정부의 의대 증원과 관련한 후보자의 기본 원칙과 그 원칙을 사수하기 위한 대응책’에 대한 질의에 응답했다.
먼저 발표에 나선 기호 5번 정운용 후보는 의사 증원은 필요하지만 윤석열 정부의 의대 증원안에는 반대 목소리를 냈다. 공공의료 인력 확보 방안이 빠졌다는 이유에서다.
정 후보는 “이제까지 일관되게 의사 증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공공의료인력이 아니라면 의미가 없다. 그렇지 않으면 의대 증원으로 오히려 의료비가 오르고 모두가 고통에 빠질 수 있다”며 “정부가 의대 증원을 추진할 때 지역의사제와 공공의대 신설을 병행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악으로 생각하는 그림은 정부와 의협 비대위가 일정 증원 수준을 타협하는 것”이라며 “의대 증원 규모가 줄고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가 그대로 관철되면서 공공의료 인력 증원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그야말로 최악의 경우가 될 것”이라고 했다.
기호 3번 임현택 후보는 의대 정원을 오히려 1,000명 줄여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이공계·교육계와 공조하겠다고 했다.
임 후보는 “우리나라 의사 수 증가율은 매우 높다. 그러나 정부는 정치적인 의도로 의사 수가 부족하다고 왜곡하고 있다”며 “이에 의대 정원 또한 일반 대학의 정원 감소 수준에 맞춰 현재 정원에서 1,000명 정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를 먹여 살리는 인재를 키워내는 반도체, 원자력, 우주공학 등 이공계 종사자와 교육계 등과 공동 전선을 펼쳐 의대 정원 감축을 관철시키겠다”고 했다.
기호 2번 주수호 후보는 의대 정원과 관련해 정부와 절대 타협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주 후보는 “의대 정원 증원의 문제는 협상과 타협의 문제가 아니라 ‘원칙’의 문제”라며 “의료계와 정부 모두 대한민국 의료가 붕괴되고 있다는 현실에 대해 인식을 함께 하고 있다. 그러나 의사들은 의료 붕괴의 원인을 잘못된 의료 제도로 보는 반면 정부는 의사 수 부족을 들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진단이 다르기에 처방이 다를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그러나 정부가 하는 것은 '맬프랙티스(malpractice)'로 바로 환자를 죽이는 일”이라며 “타협을 위해 환자가 죽을 것을 뻔히 알면서 타협할 수 없다. 이에 원칙을 사수하는 것이 올바른 대응책”이라고 강조했다.
기호 1번 박명하 후보는 의대 증원을 저지하기 위해 의료계가 의협 비상대책위원회와 단일대오를 이뤄야 한다고 했다.
박 후보는 “일방적이고 과도한 2,000명 증원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 이에 정부에 원점부터 재논의할 것을 주장한다”며 “사면초가의 위기 상황이다. 여기서 단일대오가 무너진다면 성공할 수 없다. 이에 의료계가 비대위와 함께 단일대오로 뭉쳐서 가야 한다”고 말했다.
기호 4번 박인숙 후보는 시간이 부족한 관계로 해당 질의에 답하지는 못했지만 의협 회장으로서 반드시 추진해야 하는 정책 1순위로 의대 증원 저지를 뽑았다. 박 후보는 “의대 증원와 의대 신설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전공의 진료유지명령에 醫 "대한민국이 공산 독재 정권인가"
- "'대표성 있는 단체? 그게 의협…정부 치졸해"
- "의대 2000명 증원 철회 전에는 대화도 협의도 없다"
- "전공의·의대생 후배들 지키자"…전국 의사 대표자 운집
- 의협 회장 선거 기호 결정…후보들 공명선거 다짐
- 의대 증원 정국 속 42대 의협 회장 선거 '개막'
- 의대 증원 정국 속 의협 회장 선거 스타트…차기 수장은 누구?
- '필수의료 패키지' 성토장이 된 의협회장 선거 토론회
- 의대 정원 배분 착수한 政…높아지는 의대 신설 요구
- 의협 회장 선거 D-7…무관심에 끝날까 '투쟁' 분수령 될까
- 선거 D-2, 논란 맞선 의협 회장 후보자들…"사실은 이렇다"
- 오늘 42대 의협 회장 선거 투표 시작…'결선행'은 누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