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선 철회 후 대화' 입장 재확인
25일 의사 대표자 대통령실 가두행진
의료계가 의과대학 정원 2,000명 증원 원점 재검토 전에는 정부와 협의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가 25일 개최한 의대 정원 증원 저지를 위한 전국 의사 대표자 확대회의에 모인 전국 의사 대표자 200여명은 의대 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중단을 요구하며 끝까지 투쟁하겠다고 결의했다.
이들은 결의문에서 "정부는 의료비 폭증과 이로 인한 부담을 미래 세대에 고스란히 전가하고 의대 교육 질 저하와 의학 교육 부실화를 초래할 2,000명 증원 졸속 추진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또한 "국민의 자유로운 의료선택권을 침해하고 의사의 진료권을 옥죄는 불합리한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 역시 즉각 중단하라"고 했다.
의대 정원 증원 논의는 의료계와 합의해 논의하기로 한 9·4 의정합의 준수도 다시 한번 촉구했다. 그러면서 "의료계 대표자의 우려와 경고를 무시하고 정책을 일방적으로 강행"하면 "의협 비대위와 의료계 전체는 어떤 대응도 불사하겠다. 전체 의료계가 적법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끝까지 저항하겠다"고 했다.
회의 종료 후 비대위 주수호 언론홍보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정부가 2,000명 (증원 결정)에서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는 상황에서는 대화가 안 된다"며 "대화의 조건을 만드는 것은 (2,000명 증원) 원점 재검토"라고 했다. 정부가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 "(의료계와) 대화는 불가능하다"고 했다.
고정민 기자
jmk02@docdocdoc.co.kr
관련기사
- "전공의·의대생 후배들 지키자"…전국 의사 대표자 운집
- 국립대 교수들 '조건 없는' 협의 촉구…"전공의 책임 묻지 말길"
- 불길 거센 동맹휴학…“이대로면 내년부터 의사 인력 부족”
- "뛰쳐나간 건 전공의들" VS "본때 보여주겠다는 정부 문제"
- "의대생들 박탈감과 회의감 빠져…현장 목소리 들어 달라"
- 골든타임 '주말'…서울의대→전국 교수들 움직이나
- 政 “전공의 요구 많은 부분 수용 가능…단, 연 2천명 증원 빼고”
- "의사 탄압하고 전공의 중범죄자 취급…사실상 독재국가"
- “집단행동으로 뭉치면 정부 무릎 꿇을 것이란 생각은 잘못”
- 제자와 후배의사 지지한 의대교수들 "사태 책임은 정부"
- 의협 비대위 "의사 포기 않게 국민이 도와 달라" [전문]
- 전공의 집단사직에 정치권도 우려…여야 “대화로 풀자”
- "총리 담화는 부탁 가장한 겁박…전공의 처벌 시 의료 대재앙"
- 醫 전 회원 대상 '단체행동' 투표…"모든 혼란 책임은 정부"
- 醫 "억압 두려워 하면 못 바꾼다…의료계 대동단결을"
- 교수-정부, 의대 증원 협의 성사되나
- 제자 향한 거센 압박에 보호나선 교수들…“중재하겠다”
- [꽉찬생각] “우리들의 의사를 보호하소서”
- "협의하자"는 교수들…醫·政 '2천명 줄다리기' 계속
- 증원 규모 두고 정치권도 입장 갈려…野 500여명 vs 政 2천명
- 政 “전공의, 29일까지 돌아오면 책임 묻지 않겠다…마지막 호소”
- 아동병원 소청과 전문의 이탈…주말·야간 진료 공백 차질
- 의대 정원 확대 둘러싼 與·野 정쟁 가열…‘정치쇼’ vs ‘음모론’
- 政 “의료계 대표 모아 달라…증원 규모도 논의” 공식 제안
- "'대표성 있는 단체? 그게 의협…정부 치졸해"
- 의협 회장 후보들 의대 증원 논란 '5인5색' 해법
- 의대 증원 정국 속 의협 회장 선거 스타트…차기 수장은 누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