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수단 총동원한 투쟁 선언 "후안무치 탐관오리 심판"
당정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간호법 재의요구(거부)를 건의하기로 결정하자, 대한간호협회가 간호인 총궐기로 투쟁하겠다고 반발했다.
간협은 14일 성명을 내고 당정이 간호법에 대한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있다며 간호인 총궐기로 정치적 책임을 묻겠다고 반발했다.
간협은 “후안무치한 탐관오리들이 국가 권력의 중심에서 부당한 공권력을 행사하며 대통령을 곤경에 빠뜨리고 있다”며 “국민의힘과 보건복지부가 주장하는 허위사실의 실체를 밝혀 이에 따른 정치적 책임을 묻겠다”고 했다.
간협은 “국민의 생명을 볼모로 집단 진료거부를 했던 의사와 달리 국민의 곁을 떠나지 않은 간호사에게 간호법이 ‘국민 생명을 볼모로 하는 입법독주법’이라는 누명을 씌운 것을 결코 잊지 않을 것”이라며 “총궐기로 누명을 바로잡고 발언의 책임자들을 단죄하겠다”고 말했다.
간협은 당정이 대통령에게 간호법 재의를 요구하는 근거로 든 내용을 하나하나 반박했다.
간협은 “간호법이 ‘입법독주법’이라고 하는데, 여야 모두 간호법을 대표 발의했다”며 “여당은 제21대 총선 때 정책협약서로 간호법 제정을 약속했으며, 제20대 대선에서는 원희룡 정책본부장이 정책협약서를 체결했다. 간호법 제정을 약속한 ‘윤석열 공약위키’도 있다. 증거가 차고 넘친다”고 했다.
간협은 “보건의료인 간 신뢰가 저해된 것은 법정의료인력기준을 준수하지 않는 의료기관과 관리 감독을 소홀히 한 복지부에 책임이 있다”며 “간호조무사 학력 제한 조항은 복지부가 지난 2012년 신설했다. 그럼에도 뻔뻔하게 간호법 탓인 양 허위사실을 유표하고 있다”고 말했다.
간협은 “미국의 간호법, 일본의 보건사조산사간호사법이 엄연히 존재하며, 간호법이 제정된다고 의료체계가 붕괴하지 않는다”며 “우리나라 의료체계가 붕괴하는 이유는 의사에게 의료를 독점해 놓고 생명과 직결된 수술을 할 의사조차 확보하지 못한 현실에 있다”고 지적했다.
간호법은 간호사 처우 개선만을 위한 법이 아니라고도 했다.
간협은 "간호법 없이 간호사 처우개선이 가능하다면 여당은 왜 간호법 제정을 약속했는가”라며 “간호법의 핵심은 간호사 처우 개선이 아닌 모든 국민이 의료기관과 지역사회에서 수준 높은 간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했다.
간협은 “62만 간호인은 가짜뉴스에 대항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투쟁하고 국민에게 진실을 알릴 것이다. 대통령의 눈과 귀를 막는 후안무치한 탐관오리가 반드시 국민의 심판을 받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을 향해 “국가의 중대사를 허위사실에 근거해서 결정할 수 없다”며 “공정과 상식에 입각해 현명한 판단을 내려달라. 국민에게 더 나은 간호혜택을 제공하고 간호사가 국민 건강과 환자 안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간호법을 공포해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국제간호협의회(ICN) 파멜라 시프리아노(Pamela Cipriano) 회장과 하워드 캐튼(Howard Catton) CEO는 이날 간호법 제정 서신을 보내 간호법 제정을 지지한다고 재차 밝혔다.
시프리아노 회장은 "ICN 이사회와 전 세계 간호협회를 대표해 간호법 제정 활동에 연대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 말씀드린다"며 "단식 중인 간호계 대표자의 용기와 헌신에 박수를 보낸다. 역사적으로 간호의 발전은 용감하게 나섰던 간호사의 행동에서 시작됐다"고 했다.
관련기사
- 민주당 “간호법 거부권 행사는 자기 부정과 국민 기만 행태”
- 당정, 대통령에 ‘간호법 거부권’ 건의키로…면허취소법은 빠져
- “의사들 전면 나서야” 요구에 시도의사회장들 “총파업 적극 동참”
- 여당 '의료법 개정안 중재'에 간협 "간호법 파괴 공작"
- 간호사 98% "대통령 간호법 거부 시 단체행동"
- 국민의힘의 ‘간호법 중재안’ 단칼에 거절한 민주당
- 거리로 나온 간호사·간호대생들 "윤 대통령, 간호법 공포하라"
- 단식 중인 간협 회장 찾은 조규홍 장관 "처우 개선하겠다"
- 간협 단식농성장 찾은 여야 원내대표, '간호법 해법' 시각차
- '보건의료 잠시 멈춘' 13개 단체들 "민주당, 내년 총선 표로 심판"
- 간호대 학장들 "12만 간호대생 미래 달려있다" 간호법 공포 촉구
- "더 많이 나온다"던 2차 부분파업…이번에도 개원가 '조용'
- 간협 단식농성장 찾은 국힘 최연숙 의원 '눈물'
- 간호법 제정 요구에 간호대생도 동참…"간호법 공포하라"
- 13개 단체 "내년 총선까지 함께"…예고한 총파업 멈추나
- [기고] '소통' 빠진 간호법 갈등…사회적 손실비용은?
- 간호사 99% "단체행동 필요"…간협 "파업은 고려 안해"
- 매일 점심 때마다 피켓 들고 진료실 밖으로 나가는 의사
- 간호사들 단체행동 시작…조용한 의료현장, 폭풍전야?
- 21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 앞두고 ‘간호법’ 재추진 급물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