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간 연계·소통 창구 부족…이송·응급 대처 어려워
"政, '시범사업'보단 기관 연계 방법 고려한 정책 내야"

대한재택의료학회는 지난 20일 춘계 심포지엄을 열고 지역 돌봄 통합지원 방안을 논의했다(ⓒ청년의사).
대한재택의료학회는 지난 20일 춘계 심포지엄을 열고 지역 돌봄 통합지원 방안을 논의했다(ⓒ청년의사).

2026년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돌봄통합지원법)' 시행을 앞두고 현장이 고민에 빠졌다. '통합돌봄'을 하자고 입을 모으지만 여전히 현장은 "따로 놀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재택의료학회는 지난 20일 서울 강남 삼정호텔에서 '전환기 의료와 가정 호스피스: 지속 가능한 재택의료를 위한 도전과 협력'을 주제로 춘계 심포지엄을 열고 의료와 돌봄, 환자 관리 연계 방안을 논의했다.

'전환기 의료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진행한 오전 세션에서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손기영 교수는 고위험·고령층 환자 퇴원 전·후 통합지원 서비스 운영 계획을 공유했다. 서울성모병원 진료협력센터 이선경 팀장은 상급종합병원 퇴원 환자를 지역 사회에서 돌보기 위한 다학제 접근 시도를 소개했다. 이어서 서울신내의원 이상범 원장과 믿음노인복지센터 류지호 대표가 지역 사회 의료·돌봄 현황을 알리고 현장 시각에서 다기관 연계 중요성을 다뤘다.

심포지엄 참석자들은 초고령사회를 맞아 통합 돌봄과 지원이 강조되지만 다른 분야와 소통이 제한적이라고 입을 모았다. 환자 정보 공유나 응급 환자 대처가 어렵다는 호소도 이어졌다. 한 참석자는 "응급 환자를 받아줄 수 있는 병원 관계자 개인 연락처를 알 수 없을까 고민한 적도 있다"고 털어놨다. 또다른 참석자는 "어느 지역이든 방문 진료는 한 기관 역량에만 의존해서 할 수 없다"면서 "정책·행정적으로 다른 기관과 더 적극적으로 연계하고 함께 일할 수 있는 길이 열리면 좋겠다"고 했다.

이건세 회장은 현장의 소통 노력과 함께 정부 정책 발전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청년의사).
이건세 회장은 현장의 소통 노력과 함께 정부 정책 발전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청년의사).

이건세 회장은 "각 분야가 분발하고 있지만 다른 분야와 공유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다. 정부의 제도 설계 자체도 너무 분절적이다. 아직까지 정부 차원의 연계 방안도 제시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일본은 방문간호스테이션과 재택의료기관은 물론 응급 환자 대응이 가능한 병원, 요양·재활 등 배후 기관이 모두 연계돼 있다. 일본의 재가 서비스 시스템 자체가 이런 연계를 전제로 움직인다"면서 "한국도 정부가 시범사업에 머물지 말고 분야별로 나뉘어 있는 기관을 효율적으로 연계하는 방법을 고려해 정책을 짜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환기 의료를 둘러싸고 급성기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지역 의원급 의료기관, 응급의료기관 등을 어떻게 연계할 것인가 과제가 많다. 이렇게 서로 활동을 공유하고 지금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인식하는 기회가 늘어나야 한다"면서 "재택의료학회를 통해 이같은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길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