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협, 4일 임총 열고 2년 연속 휴학계 제출 결의
대전협 "2025학년도 증원 중단 없이 복귀도 없다"
의료계 "政, 1년 정책 실패 인정하고 사과하라" 촉구

의정 갈등이 여전한 가운데 전공의와 의대생은 올해도 돌아갈 수 없다는 입장이다. 사진은 지난 10월 21일 서울의대 학생들의 시위 모습(ⓒ청년의사).
의정 갈등이 여전한 가운데 전공의와 의대생은 올해도 돌아갈 수 없다는 입장이다. 사진은 지난 10월 21일 서울의대 학생들의 시위 모습(ⓒ청년의사).

의정 갈등이 끝내 해를 넘겼다. 전공의와 의대생은 올해도 돌아갈 수 없다는 입장이다. 비상계엄 사태로 윤석열 대통령이 직무정지됐으나 정부는 의대 정원 증원 정책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전공의와 의대생도 '투쟁'을 이어가기로 하면서 사태 장기화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지난 4일 전체학생대표자총회 임시총회를 열고 "2025학년도 투쟁을 휴학계 제출로 진행한다"고 의결했다고 지난 5일 밝혔다. 의대협은 지난 11월 확대전체학생대표자총회에서 의대협 요구안 관철을 위해 2025년에도 투쟁을 이어가기로 했다. 의대협은 앞서 의대 정원 증원 전면 백지화를 포함한 8대 요구안을 낸 바 있다.

이번 임총 결의로 전국 40개 의대 학생이 휴학에 들어가나 "휴학계 제출이 불가능한 단위나 학년은 이에 준하는 행동으로 참여한다"고 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도 지난달 19일 국회 교육위원회와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을 만난 자리에서 정부가 기존 증원 정책을 고수하면 "돌아가지 않겠다"고 했다.

박 위원장은 면담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이대로면 전공의와 의대생은 돌아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2026학년도 정원 감원도 완전한 해결책이나 전공의·의대생 복귀책은 될 수 없다고 했다.

박 위원장은 "(감원해도) 올해 입학한 의대생과 내년 신입생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면서 지금 의료 현장에서 벌어지는 문제는 "단순히 의대 정원만이 아니다"라고 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은 2025학년도 증원 백지화 전에 전공의와 의대생은 돌아가지 않을 거라고 했다(ⓒ청년의사).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은 2025학년도 증원 백지화 전에 전공의와 의대생은 돌아가지 않을 거라고 했다(ⓒ청년의사).

바른의료연구소도 6일 보도자료를 내고 정부에 "지난 1년 의대 정원 증원 정책 실패를 인정하고 전공의와 의대생, 국민에게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바의연은 "정부가 의료대란을 일으킨 지 1년이 다 돼간다"며 "현 의료대란을 해결할 유일한 해법은 지금이라도 정부가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를 포함해 모든 의대 정원 증원 정책을 폐기하는 것"이라고 했다.

정부가 기존 정책을 유지한다면 전공의와 의대생 복귀도 없을 거라고 했다. 설령 이들이 돌아오더라도 "1년 7,500명이 수업을 들어야 하는 열악한 상황"이라면서 "대학병원 재직 교수도 과로로 사직하는데 수많은 학생을 어떻게 교육하느냐"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