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귀 학생들 향한 협박은 파렴치한 행위”
“정부, 원칙 없는 관용 대신 성숙한 해결 나서야”
환자단체가 대학으로 돌아오는 의대생들이 “용기 있는 결정”을 내렸다고 반기면서도 제적을 피하기 위한 “무늬만 복귀”가 아닌 의정 갈등을 해소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지난달 31일 논평을 통해 “대학으로 돌아온 의대생들의 결정에 응원과 지지를 보낸다”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의대생 복귀가 “국민 건강과 의료 시스템 안정화를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필수적인 과업이라는 데 동의한다”면서 “정부와 의료계는 원칙을 지키는 성숙한 자세로 의대생 복학과 전공의 문제를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의료계가 복귀자를 비난한다면 “표현과 선택의 자유를 저해하는 파렴치한 행동이자 치졸하고 야비한 행태”가 될 거라고 했다. 중증질환연합회는 “의대생이 지금 이 시기를 놓치면 두 번 다시 회복 불능한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의료계는) 복귀하려는 의대생을 막아서며 무책임한 언사를 남발하지 말고 지난 1년간 스스로 무엇을 해왔는지 되돌아보라”고 했다.
동시에 돌아온 의대생들의 등록 후 휴학이나 수업 거부도 있어선 안 된다고 했다.
중증질환연합회는 “의대생의 대학 복귀 후 투쟁이 예상돼 한편으로 우려가 든다. 일부 의대생이 제적을 면하고자 일단 들어온 뒤 수업 거부로 의학 교육을 망치려 한다면 지탄받아 마땅하다”면서 이는 “파시스트의 행보이지 사회적으로 수용되거나 권위와 품위를 갖춘 의료계에서 보일 행동이 아니”라고 했다.
환자들은 의정 갈등이 이어진 지난 1년을 “의대생이 복귀하길 간절히 바라며 노심초사했다”면서 “의료계는 이런 환자들의 아우성이 들리지 않느냐”고 했다. 의료 시스템 붕괴를 “정부 탓만 하고 있을 때”가 아니라고도 했다.
정부도 원칙을 지키라고 했다. “형평성을 무너뜨리며 베푼 관용”이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켰다는 것이다.
중증질환연합회는 “정부는 의료계의 (전공의) 7대 요구안을 대부분 수용했다. 일부 사안은 시민단체와 환자단체가 반발하는데도 의료계 요구를 들어줬다”면서 “심지어 2026학년도 입학 정원 2,000명 증원도 원점 재검토하겠다며 마지노선을 포기하고 의대생 복귀를 호소했다”고 했다.
그러나 이제 “원칙 없는 태도를 보여선 안 된다”고 했다.
중증질환연합회는 “의료계의 끝없는 욕심과 갈등으로 반복되는 의료 공백에 환자와 국민, 남아 있는 의료진은 지쳐가고 있다. 정부는 의료계 주장을 과연 국민이 얼마나 동의할지 생각하라”면서 “의대생 복학과 미복학생 문제는 원칙에 따라 처리해야 한다. 학칙대로 제적하겠다고 예고했다면 그대로 시행해야 한다. 더는 환자의 희생을 방조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