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5병원 교수 비대위 “정·검·경 카르텔의 위헌적 탄압”
전의교협 “정부, 의료대란 책임 인정하고 협박 멈춰야”
경찰이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에 이어 ‘빅5병원’ 전공의 대표도 줄줄이 소환해 조사하기 시작하자 의대 교수들은 “부당한 탄압”이라며 반발했다.
가톨릭·서울·성균관·연세·울산의대 교수 비대위는 5일 공동 성명서를 통해 사직 전공의에 대한 경찰의 참고인 조사와 부당한 탄압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빅5병원인 서울성모병원, 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병원, 서울아산병원 소속 교수들이기도 하다.
빅5병원 교수들은 “정부가 발표한 무모한 의료정책에 절망한 젊은 의사들이 대규모로 사직한 것은 온전히 개인 결정이지 누군가의 사주나 강압에서 비롯된 집단 사직이 결코 아니다”라며 정부가 지난 6월 4일 자로 각종 행정명령을 철회했는데도 “경찰이 전공의 대표들을 소환해 10시간 넘게 피의자 다루듯이 참고인 조사를 벌이는 것이 합당한 일인가”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전공의들을 겁주거나 표적 수사, 먼지털이식 수사를 위해 벌이는 참고인 조사라면 법치주의를 가장한 정부-검찰-경찰 카르텔 세력의 위헌적 대국민 탄압과 다르지 않다”며 사직 전공의 대표 참고인 조사 중단을 촉구했다.
이어 “전공의들이 사직할 수밖에 없도록 내몰았던 정부는 지금이라도 의대 증원 등 강압적인 의료정책을 철회하기 바란다”며 “정부는 불과 몇 개월 만에 세계 수준의 한국 의료를 ‘아프지 말아야 한다’는 말이 안부 인사가 될 만큼 위태로운 지경까지 망가뜨린 책임을 망각하고 응급실 대란 등 현장 아우성까지 무시한다면 사태는 점점 악화될 뿐”이라고도 했다.
전국의대교수협의회(전의교협)도 이날 성명을 내고 “정부는 의료대란 책임을 인정하고 전공의 탄압과 협박을 멈춰야 한다”고 했다.
전의교협은 “정부는 의료대란 책임을 망각하고 모든 것을 전공의 탓으로 돌리고 있으며 이제는 전공의 대표를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며 “전공의 탄압과 협박은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뿐”이라고 비판했다.
전의교협은 “정부에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있는지, 의료대란을 악화시켜 의사를 더 악마화하려는 것은 아닌지 그 저의가 의심스럽다”며 “자발적으로 사직을 택한 전공의에 대한 처벌을 강행하고 그들이 다시 돌아올 여지마저 없애 버린다면 전 의료계와 연대해 저지 투쟁에 나서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 '빅5' 전공의 대표 첫 경찰 출석…서울대병원 시작으로 줄줄이 소환
- 대전협 박단 “전화할 수 있으면 경증? 사망 후 병원 가라는 것”
- 국무총리 의료대란 '전공의 탓' 발언에 젊은 의사들 "책임 면피용"
- 경찰 출두한 대전협 박단 위원장 "공정·상식 사라지고 독재만 남아"
- 대전협 박단 위원장 경찰 출석에 의협 “협박 용납 않겠다”
- "'난 안 틀렸다'는 정부와 대화 어려워"…'태도 문제' 거론한 전공의
- "긍지 품고 환자 곁에 있게 해 달라"…'공공의 적' 된 전공의 눈물
- 의협 “경찰력 동원해 전공의 겁박, 뻔뻔한 책임전가”
- "대통령, 전공의를 싸워 이길 대상으로 봐" 醫 반발 확산
- “6개월 동안 선배 의사들 뭐했나” “돌아가지 못할까 두렵다” 원성
- 경찰 출두 세브란스·아산 전공의 대표 "부당 폭압, 굴하지 않겠다"
- ”의료대란 해결 마지막 기회…2025년 의대 정원 논의해야“
- 경찰 출두 삼성서울 전공의 대표 "소아마취 전문의 꿈 접었다"
- 가톨릭 전공의 대표 "政 겁박·책임전가만, 전문가 존중해야"
- 사직 전공의가 서울아산병원 피부과에 남긴 ‘선물’
- '블랙리스트' 사직전공의 구속에 의료계 "대화하자더니 겁박" 폭발
- [기고] 2000년 수배 전공의가 2024년 사직 전공의들에게
- 정부 압박에도 전공의들 "끝까지 싸우겠다…함께해달라"
- [포토뉴스] '계엄 규탄' 한파 뚫고 모인 젊은의사들 "짓밟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