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신동진·신동주, 의대생 휴학 이유 설명
"복학·신입생으로 학생 수 두 배…해결책 마련해야"
의대생이 저명한 국제 의학 학술지를 통해 해외에 한국 의대 증원 사태를 알렸다. 이들은 정부가 한꺼번에 의대 정원을 67%나 증원해 의학교육 질 저하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했다.
휴학 중인 서울의대생인 신동진·신동주 씨는 국제학술지 란셋(The Lancet)에 ‘6개월째 휴학 중인 한국 의대생들(6 months on: South Korean medical students still on leave)’이라는 제목으로 기고문(correspondence)을 통해 의대 증원 사태를 전했다.
이들은 “정부는 의대 입학 정원을 67%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의료 접근성의 지역 격차와 필수의료 의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한다"며 "정부는 입학 정원을 늘리면 경쟁에서 뒤처진 학생이 덜 인기 있는 분야로 몰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이들은 “현재 의대생의 95%가 휴학계를 낸 상태”라며 “7월 기준 재학생 1만8,217명 중 495명만이 수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의사국가고시 등록률은 5%에 불과하다"며 "휴학생들은 놓친 과목을 추후에 재수강해야 한다. 이에 (2025학년도에는) 새로 입학한 학생과 복학한 학생이 같은 과목을 수강하게 되므로 학생 수는 두 배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간이 지날수록 이 시나리오가 점점 현실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 인원은 의대의 교육 인프라를 압도하는 만큼 의학교육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며 “한국 의학교육 시스템 위기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높은 의료 수준을 유지하려면 신속하게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정부가 휴학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한국의학교육평가원 평가에 관여하려고 한다고도 했다.
이들은 “한국 유일 국제 공인 의학교육 인증 기관인 의평원을 폐지하려는 정부 차원의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며 “의평원은 정원 증가로 인해 의학교육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이에 정부가 평가 과정에 시민단체를 참여시켜 기준을 우회하려고 하자 평가 기준 변경을 거부했다”고 전했다.
정부가 의대 정원 증원과 함께 추진하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대해서도 “패키지는 인턴 수련 기간을 확대하고 이를 진료 면허를 취득하는 필수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혼합진료 금지 등이 포함돼 미래 진료 환경에 불확실성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 尹 담화에 젊은 의사들 "손바닥으로 하늘 가려…큰 기대 없다"
- 의대생들 "교육부, 의대 시간표도 본 적 없으면서 어떻게 지원?"
- 이주호 장관 “의대 증원으로 교육 질 획기적으로 높이겠다”
- 폭염에도 거리 메운 의대생·학부모들 "제대로 된 의학교육 원해"
- 정원 늘어난 의대 30곳 “2030년까지 교육환경 개선에 6조 必”
- 의대생·전공의들 "새 술은 새 부대에" 의협 개혁 추진력 얻나
- 의대협 "의대생 96% 국시 미응시…학사 파행 방기한 정부 책임"
- "전공의, 싸우는 것 아닌 '포기' 선택…선배 의사들 고민해야"
- 비수도권 국립의대생 대다수 1학기 ‘전공필수’ 미이수
- 의평원 평가 심의 방침에 의대교수들 “부당한 압력” 반발
- 교육부, 노골적인 ‘의평원 흔들기’…인정기관 취소로 압박?
- 올해 의사 국시 실기시험 347명 응시…작년 10% 수준
- "政, 의평원 인정 안 한다? 우리 길 가면 돼…주눅 들지 말라"
- "'의사 악마화'에 기회주의자로 기억될까 두렵다" 한국 등지는 전공의
- 2천명 늘려도 교육 질 하락 없다? 해외 연구 결과는 반대
- 사직전공의 눈으로 본 망가진 수련환경…"환자도 스승도 잃었다"
- [언저리뉴스②] 의학 논문 못쓰고 ‘고발문’ 쓰는 의사들
- '한국 의대생들이 의대 증원을 보이콧한 이유' 논문 살펴보니
- '의정 갈등' 여파 의사국시 응시 인원 감소…합격률도 급감
- 의정 갈등에 흔들리는 국시원…응시자 줄면서 재정난 ‘심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