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국시? 정부 잘못 감추기용…응시 명분 없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은 29일 성명을 내고 의대 교육 파행에 대한 책임지라고 규탄했다(ⓒ청년의사).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은 29일 성명을 내고 의대 교육 파행에 대한 책임지라고 규탄했다(ⓒ청년의사).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2025년도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에 응시한 의대생이 159명에 불과한 원인이 "학사 파행을 방기한 정부"에 있다고 비판했다.

의대협은 29일 성명을 내고 “의대 의학과(본과) 4학년생 국시에 접수한 학생은 159명이었으며 (4학년 재학생 중) 미접수율은 9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예견된 일”이라고 했다.

의대협은 “국시에 응시하고 의사 면허를 취득하기 위한 소양을 갖추는 데에는 긴 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대부분의 의대생은 지난 2월 정부의 잘못된 의료 정책에 반대해 휴학계를 제출했으며 정상적인 학사 일정을 전혀 소화할 수 없었다”며 “의사 국시 접수 불가능은 지난 2월부터 예정돼 있었다”고 했다.

의료법에 따르면 의사 국시 대상자는 6개월 내 의대 졸업예정자이며 해당 기간 내 학위를 등록해야 합격을 인정한다. 그러나 지난 2월부터 의대 학사 운영이 파행되면서 본과 4학년생들은 졸업 예정자로서 응시 자격이 없다는 것이다.

추가 의사 국시 실시를 적극 고려하겠다는 정부 입장에 대해서는 “잘못을 감추기 위해 학생들에게 ‘달콤해 보이는 썩은 사탕’을 주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며 이에 응시할 이유와 명분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에 의학 교육 현장이 붕괴되는 현장을 단순히 무마하려는 행태를 멈추고 제대로 책임지라고 했다.

의대협은 “대규모의 학사 파행이 발생할 것은 자명했다”며 “그러나 교육부는 예측된 문제는 하나도 해결하지 못한 채 ‘의학 교육 선진화 방안’이라며 파행을 더욱 악화하는 조치만 되풀이하고 있다. 교육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행정 처리로 학년만 올려주는 게 진정 ‘선진화 교육 방안’인가”라고 되물었다.

의대협은 “정부는 반복적으로 ‘믿어달라’고만 할 뿐, 학생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도 않고 실질적인 대책을 제시하지도 않는다”며 “휴학 승인을 불허하면서 현 상황을 무마하려는 행태를 멈추고 붕괴하는 의학 교육 현장에 대한 책임을 보이라”고 했다.

이어 “더 이상 의학 교육을 행정 처리의 대상으로만 왜곡하지 말라. 정상적인 학사 일정을 소화하지 못한 학생이 의사 국시에 응시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며 "의료 정상화를 외치는 의대생의 정당한 목소리와 선택을 무시하고 학사 파행에 대한 책임을 방기하는 정부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