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특위 중심으로 투쟁·협상 결정 → 시도·대의원회에 전달
3대 요구안 응답 없으면 22일 올특위 회의서 모든 수단 고려
임현택 회장은 올특위 빠져…'전공이 대표'도 공석 그대로

대한의사협회가 교수와 전공의 등을 포함한 새로운 투쟁 협의체를 구성한다.
대한의사협회가 교수와 전공의 등을 포함한 새로운 투쟁 협의체를 구성한다.

대한의사협회가 무기한 휴진을 포함한 투쟁 방향을 새로 설치하는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에서 결정하기로 했다.

의협 최안나 총무이사 겸 대변인은 20일 언론 브리핑에서 전날 대한의학회·전국의대교수협의회 등 교수단체와 가진 연석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올특위에서 전국 대학병원 휴진 현황과 계획을 취합하고 구체적인 투쟁 계획을 논의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올특위 첫 번째 회의는 오는 22일 오후 2시에 열린다.

전의교협 김창수 회장과 임정혁 대전시의사회장, 전공의 대표가 공동위원장을 맡는다. 위원장을 포함해 전공의 위원 4명은 대한전공의협의회 추천을 받기로 했다. 의협 임현택 회장은 올특위 위원으로 참여하지 않는다.

'전공의 대표'로 박단 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다. 박 위원장은 의협 의사결정 과정을 비판하며 공동위원장직을 거절한 바 있다. 최 대변인은 대전협이 위원 추천 요청에 답하지 않으면 "공석으로 두겠다"고 했다.

대정부 요구안 수용도 촉구했다. 이를 "거부하는지 수용하는지 분명히 답하라"고 했다. 정부 응답이 없으면 오는 22일 올특위 회의에서 "전국 병의원 휴진 현황을 취합해 전국 의사 휴직 계획을 포함해 모든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경고했다.

임 회장이 '당일 통보'했다고 논란을 산 27일 무기한 휴진도 올특위에서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시도의사회나 대의원회와 논의는 "올특위에서 결정한 뒤" 하겠다고 답했다.

최 대변인은 "(올특위 구성에) 의협과 시도의사회보다 전공의와 교수가 더 많다. 투쟁에 가장 앞장서고 있는 이들의 의견을 최대한 받아서 올특위에서 앞으로 투쟁을 결정한다. 27일 (무기한 휴진이) 어떻게 될지는 22일 회의에서 결정하는 대로 공개하겠다"고 했다.

최 대변인은 "의협은 회원이 원치 않는 투쟁은 단 하나도 하지 않을 것이다. 18일 전면 휴진도 총궐기대회도 회원 의사를 다 묻고 집행부가 결정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새 위원회를 설치해 다루기로 한 의사 수 추계나 필수의료 논의도 올특위를 주체로 별도 협의체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최 대변인은 "정부가 2025학년도 의대 정원부터 다시 논의한다고 하면 우리도 당연히 참석한다. 논의 구조는 올특위에서 할 것이다. 교수와 전공의 몫을 가장 크게 두고 의협과 시도의사회는 이를 지원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