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 정부 변화 없으면 18일 전면 휴진 연장 가능성도
"전공의 행정 명령 취소하고 정책 관계자 책임 져야"
대한의사협회가 2025년도 의대 정원 증원을 중단하지 않으면 의료계 단체행동 중단도 없다고 못 박았다.
의협 최안나 총무이사 겸 대변인은 9일 전국의사대표자대회 후 언론 브리핑에서 "우리 목적은 정부의 근거 없고 위법한 폭정 중단이다. 오늘이라도 정부가 2025년도 의대 정원 증원을 중단하면 대규묘 진료 휴진 사태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최 대변인은 "단체행동 외 모든 방법을 다 썼다. 그런데도 정부 입장이 전혀 변하지 않았다"며 "만일 의사를 악마화하고 거짓말로 국민을 속이며 잘못된 정책을 고치지 않으면 그에 상응하는 행동을 하겠다"고 했다. 오는 18일 예정된 전면 휴진을 연장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의료계 단체행동은 "전공의와 의대생이 (중단을) 동의할 때까지 하겠다"고 했다.
증원 절차를 중단하면서 사직한 전공의에 대한 행정 명령과 처분도 모두 취소해야 한다고 했다. 책임자 조치도 요구했다.
최 대변인은 "현재 진행 중인 정원 증원 절차를 중단하고 잘못된 정책을 인정하고 책임 있는 자가 책임을 지는 것, 전공의(에 대한 행정 명령을 취소하고) 복귀하도록 하는 것은 모두 같은 이야기"라면서 "그래야 우리가 더 이상 단체행동으로 가지 않고 정부와 사태를 수습하고자 대화할 수 있다"고 했다.
병의원 휴진 참여율이 떨어질 거란 우려에 대해서는 "전 회원 대상 투표에서 90% 이상이 (강경 투쟁을) 지지했고 70% 이상이 참여하겠다고 답했다. 유례없는 결과에서 회원 참여 의지가 굳건함을 알았다"며 "투표에서 나타난 뜻이 이번 18일 휴진으로 드러날 것"이라고 했다.
전공의·의대생과도 계속 함께하겠다고 했다. 이날 대표자대회도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개인 자격으로 참여했다면서 "이제는 문제를 정부와 의협이 해결할 시간"이라면서 "전공의와 의대생에게 어떤 부담도 주지 않고 법적 지원과 함께 부당한 탄압을 받지 않도록 지원하고 소통하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이 의대 증원을 바란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국민은 교육 질을 전혀 담보하지 못하며 아무 근거 없는 증원을 바라는 게 아니"라고 답했다.
최 대변인은 "국민이 원하는 의사 증가를 위해서 의협은 앞으로도 정부와 더 나은 의료 환경을 논의하겠다. 그러려면 지금처럼 몰아붙이는 의대 정원 증원 절차는 철회돼야 한다. 그다음 의료 제도 개선이 논의돼야 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 의협 대정부 투쟁 선포 '18일 전면휴진'…회원 90% 지지
- 서울의대 교수들 휴진 철회 요청 거절…"병원장이 앞장서야"
- 醫, 행정명령 ‘철회’ 놓고 ‘의견 분분’…‘사직 시점’도 논란
- 전체 휴진에서 총파업으로? 의협 총파업 참여율 "역대 최고"
- 복지부, 서울대병원 휴진 결의에 “심각한 우려”
- 서울의대 교수 '무기한 휴진' 결정에 대학병원들 '폭풍전야'
- "의사 꼴 보기 싫어도…제발 목소리 들어 달라" 서울의대 교수의 외침
- "마지막 기회, 힘 모으자" 지역·직역 막론 투쟁 외친 의사들
- 政·與, 의료계 집단행동 결정에 “깊은 유감”
- 政, 개원가 ‘진료‧휴진 신고 명령’ 발령
- "의료계 집단휴진, 명분 없는 협박…즉각 철회하라"
- 의료계 ‘집단행동’ 예고에 야당, 醫‧政 일제히 비판
- 개원가 휴진 시 행정처분 기준은 참여율 ‘30%’
- ‘맥페란’ 처방 유죄 선고에 이주영 의원, “부작용 적은 약 왜 못쓰나"
- "환자 볼모로 한 집단휴진 철회하라…기득권 사수 목적"
- 집단 휴진 동참 의사 밝힌 의학계 "참담한 심정으로 결정"
- 고조되는 '투쟁' 열기 속 고민하는 개원가…"다 함께 해야 의미"
- '新요구안' 만드는 의협, '원점 재논의' 입장 바뀌나
- 의협, 의대 증원 재논의 등 3가지 요구…“수용하면 휴진 재투표”
- '집단 휴진' 앞둔 의협…"밥그릇 아닌 의료 지킬 마지막 방법"
- 개원가 휴진 대신 '정상진료' 속출…빛바랜 '역대급' 투표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