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보건정책관·필수의료지원관 업무 및 만성질환 관리 등 총괄 전망

보건복지부 정은경 장관은 지난 3일 오후 보건의료 의약단체장과 간담회를 진행하며 지역·필수·공공의료 정책 추진을 강조했다(©청년의사).
보건복지부 정은경 장관은 지난 3일 오후 보건의료 의약단체장과 간담회를 진행하며 지역·필수·공공의료 정책 추진을 강조했다(©청년의사).

보건복지부가 지역·필수·공공의료, 이른바 ‘지·필·공’ 관련 주요 업무를 담당하는 ‘(가칭)공공의료정책실’ 신설을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정은경 장관은 이달 3일 보건의료 의약단체장 간담회를 통해 지·필·공을 강조했는데, 관련 정책을 주관할 실을 신설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복지부 고위 관계자는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가칭)공공의료정책실 신설과 관련해) 국정기획위원회 업무보고 당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제대로 추진하려면 조직이 뒷받침 돼야 한다는 이야기에서 시작된 것으로 안다”며 “다만 아직 진행은 많이 안됐고 초기 논의 단계”라고 말했다.

이어 “실 명칭은 공공의료정책실, 지역필수의료정책실 등의 의견이 나왔는데, 최종 결정은 행정안전부와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공의료정책실이 신설되면 맡게되는 업무에 대해서는 내부에서도 논의가 진행됐지만 아직 확정 단계는 아니라고 했다.

그는 “장관도 언급한 것처럼 지역·필수·공공의료 관련 조직을 확대하려는 노력은 내부에서도 계속 진행 중”이라며 “(공공의료정책실이 신설되면) 공공보건정책관 산하 업무는 물론 필수의료지원관 업무도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이 외 응급 관련 정책, 건강정책국 업무 중 만성질환 업무 등도 포함 가능하다”고 말했다.

다만 “실 신설 후 주관 업무는 논의 진행 중이지만 역시 확정 단계는 아니다. 복지부 안을 행안부에 전달한 상태지만 이후 서로 간 의견을 나눠야 한다”며 “실 신설 추진과 관련해 언제까지 하겠다는 타임라인도 아직 없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한편 복지부 실 신설과 함께 실·국장급 인사도 여전히 관심을 끌고 있다. 내부에서는 대변인과 의료개혁추진단장 등 부서 내 ‘실장급’ 자리를 조정해 공공의료정책실 몫을 만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에 대해 복지부 한 인사는 “(국정감사 후 바로 실·국장급 인사가 난다는 전망도 있지만) 본격적인 인사는 연말까지 갈 수도 있다”며 “전 부처 대상 인사검증을 진행해야 하는데, 이것만 해도 한달 이상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공의료정책실 신설도 추진 중이라 인사에 영향을 주겠지만 실을 신설하려면 국 업무도 조정해야 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며 “실장 자리 하나 만드는 것이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